[중도일보 여론조사] 민주 "분발" VS 통합 "대안" 금강벨트 강타

  • 정치/행정

[중도일보 여론조사] 민주 "분발" VS 통합 "대안" 금강벨트 강타

'정치의 해' 2022년 대선 지선 충청민심 바로미터 작용
전통적 스윙보터 중원승리 위한 전략수립 변곡점될 듯

  • 승인 2020-09-01 18:53
  • 수정 2021-08-08 11:05
  • 신문게재 2020-09-02 4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민주당통합당
중도일보 창간 69주년 여론조사가 공직선거 때마다 전통적 스윙보터 역할을 해온 충청권의 민심을 가늠하는 바로미터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치의 해'인 2022년 잇따라 치러지는 대선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체 판세를 좌우하는 중원에서 각 정당이 필승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변곡점이 됐다는 평가다.

중도일보 여론조사 결과가 일제히 보도되자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정부정책과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지지율을 점검하고, 지역 민심의 향배를 가늠할 수 있는 행정수도 이전 등 이슈 분석에 돌입하는 등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우선 민주당은 세종시를 제외한 대전시 충남도 충북도 등 충청권 3개 시·도에서 통합당에 지지율이 밑도는 것으로 나오자 내부적으로 원인 분석에 골몰하고 있다.



지지율 변화에 일희일비 하지 않고 집권 여당으로서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분위기가 감지되는 가운데 반등을 위한 전략을 찾고 있다. 충청 여권은 금강벨트 지지율 회복을 위해 정기국회 때 혁신도시와 공공기관 이전 추진 등 지역 주요 현안 관철 을 위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장 코로나19가 심각하다보니 감염병부터 잡아가야 하고, 지역 혁신도시 지정과 행정수도 이전 등도 의지있게 추진하리라 생각한다"며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민주당이 더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괄목할 만한 지지율 성적표를 받아든 통합당은 표정관리를 하고 있지만 고무된 분위기가 역력하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는 데 따라 서민 경기가 바닥을 치고 있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실망한 민심이 제1야당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자체 분석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같은 분위기를 2022년 치러질 대선과 지선까지 이어갈 수 있는 전략 마련에 부심 하고 있다.

통합당 관계자는 "정부 여당이 행정수도 이전과 혁신도시 등 두 가지 이슈가 있는데 지지부진 하다 보니 충청민들의 실망감이 지지율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대안을 제시하는 합리적인 야당으로 전략적 자세를 보인다면 다음 대선과 지선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중도일보는 창간 69주년을 맞아 제이비플러스에 의뢰해 지난달 12일부터 15일까지 각각 대전 807명, 세종 809명, 충남 806명, 충북 818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르면 충청권 정당지지율은 대전의 경우 통합 30.6%, 민주 27.6%, 충남은 통합 37.3%, 민주 29.7%, 충북 통합 35.1%, 민주 27.8% 등으로 보수야당이 우세했다. 다만, 진보색채가 강한 세종시에선 민주 30.1% 통합 23.2%로 여당이 앞섰다.

한편,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대전·세종·충남 95% 신뢰수준에 ± 3.45%p, 충북의 경우 95% 신뢰수준에 ± 3.43%p이며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