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지도에 표시된 율봉로. 출처:국립중앙박물관 |
이상면 교수는 "신탄진 수문에서 넘어가면 지명산이 있고, 그 밑에는 지명이라는 장터가 있었다. 5일장이 섰고, 주막거리가 있는 소읍이다. 그리고 주안장터는 대청댐 남쪽의 끝 경부선 터널 부근에 있었는데 지명과 주안은 약 30리 거리에 있었다"고 소개했다.
호중동학군이 활약했던 지명장터와 주안장터는 1978년 대청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사실상 동학군의 승전보를 가진 역사의 현장이 물에 잠겨 승전의 역사도 잊힌 셈이다.
이어 이 교수는 "지명장터는 바다로 가는 금강과 경부고속도에 해당하는 한양길 율봉도가 십자로 형성된 중요한 지리적 위치에 있었다. 율봉도는 서울에서 정남으로 내려와 수원-진천-문의-지명-주안을 거쳐 간다. 이곳에서 하나는 회덕, 하나는 옥천으로 넘어가는 사실상 우리나라의 대동맥과 같은 길"이라고 강조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경부선 철도를 두고 세 가지 노선을 두고 고민했다. 당시 한양길이라 불린 율봉도를 따라 철도를 놓은 것이 가장 최선으로 꼽혔다. 그러나 증약 인근 산이 높아 문의-보은-상주로 가는 길을 고려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일본군은 문의, 지명, 주안 등 대청지역 일대가 호중동학군의 근거지라서 안된다며 대전 쪽으로 경부선을 놓는다.
이 교수는 "대청호에서 호중동학군에 참패했던 일본군의 트라우마가 아니였을까 싶다. 만약 문의-보은-상주로 경부선이 뚫렸다면 대청호 지역에 큰 도시가 들어섰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지난 6월 옥천에서 열린 동학학회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 대청댐에 들러 옛생돌 백남우 선생과 수몰된 지명과 주안의 위치를 살펴봤다. 대청호는 청주와 보은 대전이 연계된 지역이지만 지리적으로는 대전이 가장 가깝기 때문에 대전에서 호중동학군과 수몰된 지명장터와 주안장터 등 옛 유적지에 대한 기념사업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