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동력확보 이번주 중대 변곡점

  • 정치/행정
  • 국회/정당

행정수도 동력확보 이번주 중대 변곡점

민주 TF 본격가동 로드맵 확정 위한 여론수렴
대상 규모 신중 공공기관 지방이전도 연내 확정
통합 여당發 이슈 정국 주도권 놓칠라 원심력↑

  • 승인 2020-07-26 16:55
  • 수정 2021-05-02 12:45
  • 신문게재 2020-07-27 3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C0A8CAE200000162DB82829300015CB3_P4_20200721193309024
여당발(發)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이슈가 정국을 강타한 가운데 이번 주가 정치권에서 동력을 확보하느냐 아니면 주춤하느냐 여부가 달린 중대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TF 가동 등 행정수도 이전 논의에 대해 애드벌룬을 띄우는 반면, 미래통합당의 경우 이에 대한 원심력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에 따르면 27일부터 당내 행정수도 TF를 가동키로 했다. TF 단장은 이미 원내대표를 지낸 서울 지역구 우원식 의원(노원을)로 확정했다. 당은 TF에서 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세 가지 방식인 (가칭)행정수도법 제정, 국민투표, 개헌 중 가장 효율적인 방안에 무엇인지 여론 수렴을 하면서 본격 검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당 원내 지도부에선 입법을 통한 여야 합의를 최우선시 하는 분위기다. 김태년 원내대표가 이 사안과 관련 수차례 "개헌이나 국민투표까지 가지 않아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이 뒷받침 한다.



당내에선 다른 의견도 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24일 세종시청에서 열린 특강에서 "개헌을 한다면 '대한민국 수도는 세종시에 둔다'고 하면 헌재 위헌 결정 문제가 깨끗하게 (해결)된다"며 특별법 보단 개헌에 무게를 실었다. 정세균 총리도 얼마전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위험)그런 부분이 치유돼야 완전한 수도 이전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민주당 TF는 앞으로 행정수도 이전 추진과 관련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등을 순회하면서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다만, 행정수도 이전 대상과 규모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자제키로 했다. 여당 차원의 구체적인 실행전략이 나오기 전에 일각의 반발부터 표면화 될 수 있다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서울대와 KBS가 이전 대상에 포함됐다는 일부 보도를 모두 부인한 것도 이같은 맥락이다.

민주당은 행정수도 완성 추진과 함께 지방이전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안으로 지방이전 기관 명단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 346개 공공기관 가운데 100곳 안팎을 업무 특성상 지방 이전이 가능한 대상으로 꼽고 있다. 이미 이같은 계획이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에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보수야권에선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지난 20일 김태년 원내대표 교섭단체연설 직후 다소 어정쩡한 태도를 보이다가 지도부 차원에서 확실히 반대로 좌표를 수정한 것이다. 여당발 이슈에 끌려다니면 정국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얼마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16년 전 헌법재판소에서 행정수도 이전은 위헌판결이 났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행정수도 이전은 불가능하다"며 2년 뒤 대선을 가리키며 "이번에도 선거에서 재미를 보려고 민주당이 저러는 측면이 없지 않다고 본다"고 비판했다.

이명수 의원(아산갑)도 얼마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정세균 총리에 대해 행정수도 정책과 관련 "정권이 정말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대통령 연설 때 했어야 했는데 국민 합의를 거쳐도 모자랄 민감한 이슈에 대해 진지하고 충분한 검토가 없었다"며 "종합적인 국가 관리 차원에서 안보나 행정, 정치·경제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며고 지적했다.
강제일·서울=송익준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4.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5.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1.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2. 대전교육청, 초등생 살해교사 명재완씨 징계 확정… 최고 수준 '파면' 예상
  3.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4.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5.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