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대학 혁신 플랫폼을 처음 구상해 현실화시킨 대전.세종.충남지역 대학가는 당초 의도와는 다르게 이번 사업도 여타 정부 재정지원사업과 다른 바 없는 '나눠먹기식'으로 전락하고 있는 만큼 정치권과의 공조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23일 대전·충남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3월 지자체, 대학 등 지역혁신 주체들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해 지역발전전략을 짜도록 지원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공고하고 이날까지 계획서를 받았다.
교육부는 내달 비수도권 대학 가운데 복수형과 단수형에서 총 3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대전, 세종, 충남권 21개 대학은 '미래가치창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복수형' 사업에 도전한다.
복수형에는 대전·세종·충남 이외에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3개 지역이 경합을 벌인다.
지역 대학가는 사업 계획서 접수와 함께 본격적으로 막이 오른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이 자칫 정치권의 입김으로 좌우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평가 결과를 놓고 우려하고 있다.
당초 지난달 27일 마감키로 했던 계획서 접수가 일부 지역의 요청으로 한 달간 연장되면서 유력 정치인의 정치적 연고 지역에 대한 특혜의혹이 나오는가 하면 현 정부 출신 인사들과의 접촉설도 끊임없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사업 계획이 공고되기 전부터 일찌감치 '휴스타(HuStar) 혁신대학사업'을 주창한 대구경북이나 '지방정부-대학 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 워킹그룹 회의'를 개최하며 지난해부터 사업 추진을 해온 경남 등 자치단체장의 유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21대 국회에서 대전·세종·충남을 지역구로 둔 교육위원회 소속 의원이 없는 것도 이 같은 지역 대학가의 우려를 더한다.
충북 오창의 방사광 가속기 구축으로 더 이상 충청권에 대규모 사업이 선정돼선 안된다는 타 지역의 네거티브 전도 대전세종충청권을 발목잡고 있다.
지역대 관계자는 "자칫 오덕성 전 충남대 총장이 제안하면서 현실화된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이 오히려 정치권의 입김으로 어려워질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며 "각 자치단체마다 정치권과의 공조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이번 선정 결과는 지역 정치권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