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70주년 국제학술세미나

  • 정치/행정
  • 충남/내포

6.25 전쟁 70주년 국제학술세미나

미래군사학회 주관
참전유공자와 전적지 발굴, 유공자 선양과 호국보훈정신 고양 방안 모색

  • 승인 2020-06-21 12:02
  • 수정 2021-05-05 01:43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592555373441.-1908819532
6·25전쟁 70주년 국제학술세미나가 미래군사학회(회장 최장옥 박사) 주관으로 지난 19일 충남대 영탑홀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미래군사학회가 주관하고, 국가보훈처에서 후원하고, 충남대와 조선대, 건양대,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가 공동주최했다.

조남인 충남대 교수는 "이번 세미나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대전지역 내 참전유공자와 전적지를 발굴하고, 유공자 선양과 호국보훈정신 고양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며 "특히 이번 세미나는 국내 기관과 학교, 6·25 참전국인 필리핀과 태국군 장교들도 함께하는 국제학술세미나로 개최돼 그 의미를 더했다"고 말했다.

세미나는 총 3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대전지역 6·25 참전자 발굴과 선양 방안, 제2부에서는 대전지역 전적지 발굴과 활용 방안, 3부에서는 외국군의 보훈정책과 6·25 참전자 보훈 실태 발표와 토의로 진행됐다.



먼저 제1부에서는 신종태 박사(통일안보전략연구소)가 '미 제24사단 금강 방어 전투와 지역주민의 미국 낙오자 구조사례 연구'를 발제했다. 신종태 박사는 1950년 7월 미군이 후방으로 철수하며 지금의 대전 유성구 금병산 일대에서 낙오된 미군 킬패트릭 상사를 주민(임창수, 당시 18세)이 발견해 70일 동안 북한군의 눈을 피해 보호해 준 내용을 발굴해 발제했다.

이원희 박사(충남대 국방연구소)는 '포항지구 전투에 참전한 학도의용군의 활약과 보훈 선양 방안'에 대해 발제하면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재일본 학도의용군의 활약상을 발표했다.

제2부에서는 조상현 박사(한국군사문제연구원)가 '대전지역 6·25 전적지 발굴 및 활용방안'에 대한 주제로 발표하면서 6.25전쟁시 참혹했던 대전전투상황과 주요 전적지를 발굴하고 국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종호 건양대 교수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강경지역에서 경찰과 북한군 6사단 1연대와의 전투를 발굴해 6.25전쟁 시 경찰의 역할에 대해 재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제3부에서는 6·25 참전국인 필리핀과 터키의 현역 장교들이 해당 국가의 보훈정책과 6·25 참전자의 보훈 실태에 대해 발표하면서 국내외의 보훈 정책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나누는 기회가 됐다.

최장옥 미래군사학회장은 "현재 6·25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흐르면서 우리의 기억 속에서 서서히 흐려져 가는 전쟁의 참혹성과 고통을 되새기고, 그 당시 온갖 고통과 어려움을 인내하면서 대한민국을 지켜내기 위해 헌신하신 국내외의 6.25전쟁 참전자와 유공자에 대한 발굴과 선양을 통해 호국보훈정신을 고양시키고 다시는 6.25전쟁과 같은 참화를 겪지 않도록 유비무환의 태세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조리원 대체전담인력제' 본격 추진... 학교급식 갈등 풀릴까
  2. 대전·충남서 의대학생·의사 등 600여명 상경집회…"재발방지 거버넌스 구성을"
  3.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4. [2025 과학의 날] 국민의 오늘과 내일을 지키는 기술, 그 중심에 ETRI
  5. 대전전파관리소 5월 28일 정보보호최고책임자 대상 정보보호 설명회
  1. "시간, 돈만 날려"…결혼정보업체 과대광고, 계약미이행에 눈물 쏟는 이용자들
  2.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3. ‘한 지붕 두 가족’…국화아파트 통합 추진준비위 두 곳 경쟁
  4. 관광만 집중한 충남도… 문화예술 뒷전? 올해 신규사업 0건
  5.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헤드라인 뉴스


대전 연고 프로스포츠, 드디어 `전성기` 맞았다

대전 연고 프로스포츠, 드디어 '전성기' 맞았다

대전을 연고로 한 프로스포츠 구단들이 올 시즌 절정의 기량으로 리그를 나란히 휩쓸면서 팬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대전하나시티즌의 눈부신 활약을 선보이며 시즌 초반 리그 선두를 질주하고 있다. 대전은 4월 19일 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9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김천에 2-0으로 승리했다. 1·2위 맞대결에서 승점 3점을 따낸 대전은 6승 2무 2패로, 전체 프로구단 중 가장 먼저 승점 20점을 넘기며 K리그1 1위를 지켜냈다. 대전의 돌풍을 이끄는 핵심은 바로 '골잡이' 주민규다. 김천과의 경기에서도..

배달의민족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 대전 자영업자들 `난색`
배달의민족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 대전 자영업자들 '난색'

대전 자영업자들이 배달 플랫폼 업계 1위 배달의민족이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부과키로 하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일각에선 포장 주문을 해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전화 주문을 하고 찾아와 결재하지 않는 이른바 노쇼를 방지할 수 있어 어쩔 수 없이 이어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고충을 호소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14일부터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포장 주문 서비스에도 중개 수수료 6.8%(부가세 별도)를 부과하자 지역에서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일부 업주들은 포장 주문 서비스를 해지했다. 대전 서..

대전 도안 2단계 도시개발사업 활발… 실수요자 관심↑
대전 도안 2단계 도시개발사업 활발… 실수요자 관심↑

대전 도안 2단계 도시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대단지 아파트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이미 분양한 단지뿐 아니라 추진 중인 사업장도 주목받고 있다. 21일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도안 2단계 개발사업은 유성구 복용·용계·학하동 일대 300만 6319㎡ 규모에 주택 1만 7632세대가 들어서는 신도시급 대단위 주거벨트다. 이 지역은 이미 완판된 1단계(616만 7000㎡)와 사업이 예정된 3단계(309만㎡) 사이에 위치해 도안 신도시의 '중심'으로 불린다. 이와 함께 2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

  • 대전 유성구청, 과학의 날 맞이 천제사진 전시 대전 유성구청, 과학의 날 맞이 천제사진 전시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