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왜 코로나19 시국에 우리 음악가들의 음악을 들어야하는가?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왜 코로나19 시국에 우리 음악가들의 음악을 들어야하는가?

안성혁 작곡가

  • 승인 2020-06-01 10:07
  • 신문게재 2020-06-02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안성혁 작곡가
안성혁 작곡가
1990년 2월 14일 '창백한 푸른 점'이라 불리는 사진이 찍힌다. 천체물리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은 NASA에 명왕성을 지나 태양계를 벗어나려는 보이저 2호의 카메라 방향을 반대로 돌려 지구를 찍자고 제안 했다. 그리고 보이저 2호는 사진을 찍어 지구로 전송했다. 그는 그의 저서 '코스모스'에서 말한다.

"다시 저 점을 보라. 저것이 우리의 고향이다. 저것이 우리다. 당신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 당신이 아는 모든 이들, 예전에 삶을 영위했던 모든 인류들이 바로 저기에서 살았다."

우주라는 광활한 공간에서 지구라는 작은 행성에서 만난 우리들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 그렇기에 우리는 서로를 존중하며 사랑하며 살아야한다. 그런데 삶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어려움을 만난다. 코로나 19가 그것이다. 인류가 처음 겪는 이 코로나 19로 인해 인류는 전염에서 오는 공포와 스트레스, 단절에서 오는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개인 간의 만남과 단체의 모임이 힘들어졌으며 국가 간의 왕래가 멈췄다. 이로 인해 인류는 고통 속에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음악은 위안과 힘이 되며 마음을 치유한다.

예를 들어 Bach의 G 선상의 아리아와 Chopin의 녹턴 1·2번을 통해 정서를 순화 시킬 수 있다. Beethoven의 합창 교향곡 4악장은 환희와 용기를 준다. 또 Mozart의 성가 Laudate Dominum(주를 찬양하라)나 나운영의 가곡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그리고 우리 가곡을 듣는다면 마음이 차분해지며 위안과 평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힘이 되는 클래식들이 많이 있다. 이렇게 음악은 우리에게 힘을 준다. 이는 음악이 갖고 있는 소통에서 오는 힘이다.



음악엔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작곡, 연주, 감상이다. 음악을 작곡을 하고 그 곡을 연주하고 연주를 감상하는 것을 뜻 한다. 여기엔 음악을 통한 소통이 내재되어있다. 무언의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는 연주회장에서 단순히 음악 감상자가 아닌 소통자로 참여하는 거다. 그런데 코로나로 인해 이마저 어려움에 처해있다. 대부분 연주회가 취소되거나 연기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가들은 youtube 등의 인터넷 연주회 중계 또는 생활 속 거리두기를 엄격히 지키는 음악회를 열거나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창작곡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음악회도 어렵게 열리고 있다. 그렇다면 왜 현재 음악가들의 연주를 들어야 할까? 음악은 소통하는 것이다. 우리 시대 즉 현재 삶을 살아가는 음악가들의 음악은 현재 우리의 문제를 같이 경험하고 있고 그 경험이 음악과 함께 표현되기 때문이다.

해외에선 다니엘 바랜 보임, 발렌티나 리시차, 안네 소피 무터, 우리나라의 백건우, 조성진 등의 음악가들이 온라인을 통해 청중을 만나고 있다. 우리나라를 보자. 우리나라 안에 있는 음악가들은 지금의 어려움을 같은 공간에서 같이 격고 있으며 그 상황 속에서 나오는 음악이다. 그렇기에 그들의 연주는 더 깊은 교감을 이끌어낸다. 각 시도의 국공립 예술단은 앞서 말한 여러 형태로 청중에 다가가고 있다. 대전 역시 대전 시립 예술단, 대전예술의 전당, 민간 예술단체들이 여러 기획 공연을 만들어 대전의 시민들을 위해 음악을 준비하고 있으며 실행하고 있다. 우리는 음악으로 소통하며 함께 코로나의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앞서 언급한 광활한 우주 속 '창백한 푸른 점'으로 돌아가자. 우주안의 '창백한 푸른 점' 지구 그 안의 동북아 그리고 다시 대한민국. 우리나라 공간 안의 우리들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 그 속에서 어려움을 같이 극복하며 그 가운데 우리에게 용기를 주려는 음악가들은 얼마나 고마운 존재들인가? 그들이 연주하는 음악은 분명히 위안과 용기를 줄 것이다. 우리의 음악가들은 준비하고 여러분들을 기다린다. 이제 여러분들이 음악가들에게 다가 갈 차례다. 인터넷으로 또는 생활 속 거리두기 안의 음악회장 안으로. 그리고 같이 코로나 19를 극복해보자.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신정호정원' 본격 개방
  2.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3. 소진공-카카오, 지역 상권 디지털전환 지원사업 업무협약
  4. '제3회 충남도지사배 3쿠션 토너먼트 전국대회' 천안서 성황리 개최
  5. 민주 대권주자 최대승부처 충청서 "세종시대" 합창…각론선 신경전
  1. 아산축협, '사랑의 아산맑은 축산물 나눔행사' 펼쳐
  2. 코닝정밀소재(주), 취약계층 중-고생에 장학금 기탁
  3. 아산시먹거리통합지원센터, "학교급식을 더 안전하게" , 위생점검 실시
  4. 이재명 "충청을 대한민국 성장의 중심으로…세종은 행정수도 완성"
  5. 아산시 인주면행복키움, "어르신 생신 축하드려요"

헤드라인 뉴스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6·3 조기대선 시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정권 재창출에 나선 국민의힘은 본격적인 경선 일정에 돌입하는 가운데 충청권 '배지'들도 당내 각 대선 주자들과의 이합집산이 활발해 지고 있다. 정권 탈환을 노리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대선 승리를 위해선 반드시 이겨야 하는 충청권 공략을 마친 뒤 영남을 거쳐 호남과 수도권 등으로 컨벤션 효과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의 경우 경선 일정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대선링이 뜨거워 지고 있다. 19~20일 진행된 첫 토론회에서 대선 경선 후보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충청권과 영남권 경선에서 잇따라 압승했다. 이 후보는 전통적 캐스팅보트로 최대승부처였던 충청에 이어 당의 험지인 영남에서 파죽의 2연승으로 순회경선 반환점을 지나면서 대세론을 탄탄히 했다는 평가다.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열린 영남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90.81%, 김동연 후보 3.26%, 김경수 후보 5.93% 각각 차지했다. 이재명 후보는 20일 영남 경선 합동연설회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대한민국의 국운이 걸린 절체절명의 선택"이라며 "무너진 민생과..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김치찌개 백반이 전국 최고가를 유지하는 가운데 비빔밥과 자장면 등의 가격이 인상세가 지속되며 지역민들의 외식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1만원 한 장으로 점심때 고를 수 있는 메뉴가 점차 줄어든다. 2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3월 대전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8개 외식 대표 음식 메뉴 일부가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자장면은 3월 7200원으로 2월(7000원)보다 2.8%(200원)로 상승했고, 비빔밥도 이 기간 1만원에서 1만 100원으로 1% 올랐다. 집계된 금액은 지역 외식비 평균 가격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