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이춘희 세종시장이 25일세종 중앙공원에서 6인승 자율주행 셔틀에 탑승하고 있다. |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차가 세종시 중앙공원에서 25일 운행을 시작했다.
공원에서 약속된 노선을 오가는 셔틀 개념에서 시작됐지만, 주거단지에서 저속 자율주행과 전용도로(BRT)에서 고속 자율주행차가 잇달아 선보일 예정이다.
이날 이춘희 세종시장과 박영선 중소기업벤처부 장관, 이문기 행복도시건설청장 등은 세종 중앙공원 1단계 구역에서 자율주행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자율주행차 시승 행사를 가졌다.
중앙공원 1단계 구역에 자율주행차량이 오갈 수 있도록 폭 4m, 총연장 1.3㎞ 자율주행 도로를 구축했고, 특구사업자인 언맨드솔루션이 개발한 6인승 차량을 투입했다.
앞으로 세종중앙공원에서는 ㈜언맨드솔루션이 제작한 3등급 국산 자율주행차를 활용해 국내 최초로 도심공원 자율주행 셔틀서비스를 실시하며, 오는 9월 공원 개장 전까지 안정성을 점검한다.
공원 개장과 함께 시민들이 직접 공원 내 키오스크를 통한 현장 예약 또는 시민체험단 참여하는 방식으로 자율주행차를 탑승해 공원을 관람할 수 있게 된다.
그간 세종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에서는 도심공원 자율주행과 주거단지 저속 자율주행, 일반도로(BRT) 고속 자율주행 등 3개 구간에 걸쳐 자율주행 실증을 준비해왔다.
이에 따라 국내외 자율주행 기업들은 구간별 자율차를 제작하고 차량 위치측정 기술력 향상, 안전매뉴얼 수립, 안전점검위원회 구성·운영, 책임보험 가입 등 안전성 확보에 주력해 왔다.
세종시와 중기부는 실증 지원을 위해 세종시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에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앙공원에 자율주행전용도로와 돌발상황검지기, 보행자검지기 등 안전시설을 조성했다.
자율주행 특구사업자인 언맨드솔루션이 제작한 6인승 자율주행 셔틀이 세종 중앙공원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이와 함께 세종테크밸리 인근 주거단지에서는 ㈜AI모빌리티의 저속 자율주행차가 실증을 시작하며, 오는 9월에는 BRT도로에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고속 자율주행차가 실제 도로를 다니며 안정성을 확인한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향후 자율주행 기반의 충청권 광역 교통체계 구축을 제안해 자율차 관련 서비스 신산업을 충청권 협력 모델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영선 장관은 "디지털인프라의 핵심은 5G와 기반사업간 융복합인만큼, 자율주행 V2X(차량·사물통신) 주요 기술로 주목받는 '5G 28Ghz 밀리미터파'를 세종 특구에 접목해야 하며, 이를 위해 민관이 합심하여 5G 기반의 디지털 신산업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자율주행차란 운전자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로 유명 자동차업체 뿐 아니라, IT업계 또한 개발을 위해 열띤 경쟁을 벌이며, 올해를 시작으로 상용화 가능성이 전망된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