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일 대전테크노파크 본관 1층 대회의실에서 제1차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위원회가 열렸다. <대전테크노파크 제공> |
대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운영이 정상궤도에 들어선 가운데, 기업전용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 실증을 위한 관련 위원회가 발족 됐다.
대전시와 대전테크노파크는 기업전용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 실증을 위한 '대전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위원회'를 발족하고 15일 1차 정기회의를 열었다.
위원회는 대전시 과학산업국장,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건양대·대전을지대·충남대병원 병원장, 특구사업자(3개 기업),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으며, 대전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에 대한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하게 된다.
이번 정기회의를 통해 인체유래물 공동운영을 위한 준비사항을 점검하고, 분양심의위원회를 구성해 지역기업에 검체를 분양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했으며 이후 중기부에 실증 착수보고 등 절차를 거쳐 6월 말께 본격적인 검체 분양에 들어갈 예정이다.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은 "최근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역 진단기기기업들이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으며 유례없는 수출 성과를 달성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다"면서 "대전인체유래물은행을 통해 지역 기업들이 양질의 검체를 보다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성과를 뛰어넘는 제품을 조속한 시일 내 상용활 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는 2019년 11월 지정돼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대전시는 사스(2002년), 신종플루(2009년), 메르스(2015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20년) 등 신종 감염병의 발생 주기가 점차 빨라짐에 따라 바이러스 발생 우려가 더욱 커지면서 이를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운영을 통해 감염병 진단을 비롯해 예방, 치료 분야 연구개발을 강화할 방침을 세웠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