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정치 힘을 기르고 지평을 넓히기 위한 국회의장, 총리, 당 대표 등 도전은 물론 올해 총선 과정에서 심화 된 진영대결과 지역주의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하는 과제에도 직면해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총선 이후 가장 시급한 점은 지역 현안 추진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 급선무라는 데 이견은 없다.
올해 초 국가균형발전특별법 통과로 대전 충남 혁신도시 근거를 마련한 만큼 지역이 가급적 빨리 혁신도시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정치권에서 전폭 지원사격을 해야 한다. 6월 균특법 시행령 개정, 7월 정부 지정 신청, 올해 안 혁신도시 지정 로드맵에 차질이 생겨선 안 된다. 이 과정에서 우량 공공기관을 지역으로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총선 이후 정부가 수도권 소재 200곳에 육박하는 공공기관을 지역으로 이전하는 '혁신도시 시즌2'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겨냥해 어떤 기관이 충청권 특성에 부합해 지역발전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지 여부를 꼼꼼히 따져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도 더는 미뤄져서는 안 된다. 입법부와 행정부 분리로 갈수록 커지는 국정비효율을 해소하고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촉진시키기는 데 충청 정치권이 앞장서야 한다. 세종시에는 18개 정부 부처 가운데 3분의 2인 12개 부처가 집적돼 있다. 하지만, 청와대와 국회가 서울에 있어 업무보고 등을 위한 공무원 출장비용이 연간 수십억 원에 달하는 상황. 더 이상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에 여야가 머뭇거릴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한 첫 단추는 국회 운영위에 계류 중인 세종의사당 설치근거를 담은 국회법 개정안 처리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총선 이후 국정 운영 중심으로 진출하기 위한 지역 여야 정치권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이번에 6선에 성공한 박병석 의원(대전서갑)은 유력한 국회의장 후보군이다. 이 자리는 통상 1당에서 선수가 높은 순으로 결정되는 데 이 기준으로 보면 당내 최다선인 박 의원이 가장 근접해 있는 것이다. 지난해 패스트트랙 정국에서 입증됐듯이 법안의 직권상정 권한을 가진 의장은 의회 정치의 중심. 충청권이 의장을 배출할 경우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천군만마를 얻는 것이나 다름없다.
5선에 성공한 이상민 의원의 총리도전도 관심사다. 이 의원은 의원내각제 개헌을 전제로 이 자리에 도전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이낙연 전 총리 4선, 정세균 전 총리 6선 등 중진 의원이 기용된 점을 감안할 때 기대감을 갖게 한다.
이밖에 3~4선에 성공한 여야 의원들도 지역발전을 이끌 수 있는 여의도 주요 포스트인 당 원내대표와 상임위원장에 적극 나서 충청권의 역량을 키우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국 정치의 고질병인 진영대결과 지역주의 타파에도 충청 정치권이 앞장서야 한다. 개표 결과에서 보듯이 진보는 호남, 보수는 영남권을 사실상 휩쓸며 4년 전보다 지역주의 구도가 심화됐다.
21대 국회에서 문재인 정부 경제 외교 안보 정책을 둘러싸고 여야의 강대 강 대치로 이어지는 뇌관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가치인 '중용'(中庸)으로 대표되는 충청권이 한국 정치의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는 것이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