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복 충청민속문화연구소장 |
강성복 충청민속문화연구소장이 10년에 걸쳐 외연열도에 대한 장기적인 참여관찰을 통해 서해안 어촌공동체 사회의 역동적인 모습을 파노라마처럼 담아낸 책을 펴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민속원에서 펴낸 충청민속문화총서1 <황금담치, 외연열도 사람들>이 바로 강성복 소장의 노력과 발품에 의해 탄생한 역작이다.
그는 “외연열도는 보령시 서해의 끝자락에 떠 있는 30여 개의 섬과 여(바위섬)를 일컫는다”며 “연기가 피어나듯 해무에 휩싸인 신비의 섬, 한국의 대표적인 낙도의 하나”라고 설명했다.
강 소장은 “일제강점기 이래 외연열도에 대한 관심은 고고학·인류학·민속학·사회학·생물학·언어학·조류학 등 여러 학문에 걸쳐 다각적으로 표출됐다”며 “ '황금담치, 외연열도 사람들'은 한 민속학자의 시선으로 서해안 어촌사회를 들여다본 미완의 기록”이라고 밝혔다.
강 소장은 “제 책의 집필 의도는 크게 두 가지”라며 “하나는 외연열도를 통해 서해안 어촌사회를 조망하고, 다른 하나는 서해안 어로민속·해양문화의 전통 속에서 외연열도의 입체적인 모습을 수면 위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 소장은 “이 책은 그동안 답사현장에서 얻은 작은 결실을 서해안 섬의 민속·어로문화의 관점에서 갈무리한 것”이라며 “이 책의 제목인 '황금담치'는 지속가능한 어촌공동체의 구현을 염두에 두고 명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실 ‘홍합’의 별칭인 ‘담치’는 외연열도 갯밭에 지천으로 자라는 흔하디 흔한 해산물이었지만 이제는 담치가 바야흐로 외연열도에서 천혜의 어족자원으로 떠오르고 있고, 판로가 열리면서 한 번의 채취로 호당(2인 기준) 300만~400만원의 소득이 보장되는 황금담치로 변신했다”고 소개했다.
강 소장은 “외연열도에서 담치는 바다란 공유자원을 어촌사회가 일정한 규제 하에 이용할 때,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을 넘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담보한다는 사실을 각인시켜준다”고 말했다.
강 소장은 “외연열도를 찾을 때마다 따뜻하게 맞아주신 모든 분들께 사무치는 마음으로 깊은 사의를 표한다”며 “그들은 서해 도서지역의 삶과 어로 문화의 진수를 일깨워준 저의 스승”이라고 전했다.
한편 강 소장은 대전 출생으로 공주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 충남도 무형문화재위원을 지냈고, 현재 비교민속학회·실천민속학회·한국무속학회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민속학연구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충남대마을연구단 마을조사 팀장과 한국민속학회 이사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황금담치, 외연열도 사람들>을 비롯해 <충청민속문화론>, <금산의 탑신앙>, <금산의 송계>, <청양 정산 동화제>, <금산 농바우끄시기>, <서산 초록리>(공저), <예산 동서·상중리>(공저), <공주 한천리>(공저), <계룡시 향한리>(공저), <당진의 공동체민속과 마을축제>(공저) 등이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