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에 뛰어들 때다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에 뛰어들 때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 승인 2019-11-08 11:07
  • 신문게재 2019-11-08 22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황순욱이미지-small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지난 9월 5일 자 필자의 칼럼에서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개발을 둘러싼 미·중·일 3국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드디어 EU도 프로세서 기술 독립을 선언하고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개발 경쟁에 가세하였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구축에 대해서 한번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라고 하면서 칼럼을 마무리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우리도 더 늦기 전에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를 개발할 시점이 됐다.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이 얼마나 시간이 걸리고 도전적인 일인지 중국의 경우를 한번 살펴보자. 2016년 6월 중국은 자체기술로 개발한 선웨이 프로세서를 장착한 슈퍼컴퓨터인 '선웨이 타이후라이트'로 슈퍼컴퓨터 톱 500리스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980년대부터 자체 프로세스 개발을 시작했으니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를 개발하기까지 30년 이상이 걸린 셈이다.

그러나 현재 오픈 프로세서 기술 생태계가 점점 성숙해짐에 따라서 훨씬 짧은 기간에도 자체 프로세서 기반의 슈퍼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최근 유럽연합(EU)은 시장의 오픈 프로세서 칩 개발 기술을 이용하여 슈퍼컴퓨터 개발을 착수했다. 그동안 프로세서 기술의 불모지였던 EU가 유럽 브랜드 프로세서 기술 독립을 선언하는 European Processor Initiative(EPI) 프로젝트를 2018년 12월에 출범시킨 것이다. 2023년까지 EU 자체 브랜드 프로세서 기반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를 개발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현재 각국은 자체 프로세서 기반 엑사급 슈퍼컴퓨터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은 인텔 x86 기반 프로세서와 GPU 기반 가속기를 결합한 방식으로, 중국은 오픈 프로세서 기술 또는 자체 프로세서인 선웨이 프로세서와 자체 가속기인 매트릭스 기반으로, 일본은 후지쯔에서 새롭게 개발한 ARM 기반 A64FX칩을 사용해서, EU는 ARM 기반 프로세서와 RISC-V 기반 가속기를 결합한 형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도 지금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개발을 시작한다면 EU처럼 x86 기반이 아닌 오픈 ISA(Instruction Set Architecture) 기반으로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특히, 우리보다 2~3년을 먼저 고민한 EU와 최근 SPARC에서 ARM으로 바꾼 일본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EU처럼 ARM 프로세서와 RISC-V와 같은 가속기의 결합 형태인지, 일본처럼 ARM 프로세서만으로 구축할 것인지, 아니면 오픈 소스인 POWER 프로세서 기반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의가 필요하다.

자체 프로세서 개발에 있어서 우리에겐 일본이나 EU에 비해 강점도 있다. 비메모리 반도체 기술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6월 삼성전자가 ARM 아키텍처 기반 엑시노스 새 심벌마크를 처음으로 공표할 정도로 모바일 분야 시스템 반도체 기술력도 꾸준히 축적된 상태이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국내 기업들이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점이다. 올해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에 총 133조 원을, SK하이닉스도 반도체 클러스터에 12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우리만의 강점을 바탕으로 슈퍼컴퓨터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강국인 EU와 2030년 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를 꿈꾸는 우리나라가 전략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공조한다면 우리도 EU처럼 향후 5~6년 안에는 자체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것이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尹파면] 6월 3일 '장미대선' 유력... 정치권 움직임 분주
  2.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3. [尹파면] 개헌론 대선링 흔드나 … 행정수도 개헌 시대적 사명
  4. [尹파면] 전원일치 인용에 충청 시도지사 "존중"
  5. "이제는 안정과 화합이다" 지역민 목소리
  1. [尹파면] 조기대선 레이스 진보 이재명 보수 김문수 선두
  2. 대전 문평동 폐기물처리업체 화재…초진 완료 후 잔불 정리 중 (종합)
  3. [尹파면] 조기대선 민주-국힘 사생결단 총력전 … 중도층 향배 최대 관건
  4. [尹파면] 헌재 '헌법정신' 전면부각 국민통합 메시지
  5. [尹파면] 대전 진보 자치구의장들 "민주주의 회복, 일상 회복 전념해야"

헤드라인 뉴스


`행정수도 완성` 대선정국 요동… 충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을

'행정수도 완성' 대선정국 요동… 충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을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 조기 대선 정국 초반을 뒤흔들면서 충청의 정국 주도론이 주목받고 있다. 1987 체제 극복을 위한 개헌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된 데다, 대권 주자들도 행정수도 이전에 공감하는 만큼 이번 대선 정국에서 충청의 적극적인 역할로 '중도(中都)의 꿈'을 실현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최근 행정수도 개헌은 조기 대선 정국과 맞물려 동력이 되살아나고 있다. 그동안 지역과 일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요구가 이어졌지만, 현실적으로 추진되진 못했다. 하지만 상황이 급변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미국발 관세 쇼크 등 대내외 악재로 국내 고용시장의 위기감이 감돈다.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역대 3월 기준으로 2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면서다. 특히 오랜 기간 침체를 겪고 있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3만 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4000명(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199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낮..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윤석열 파면 후 첫 월요일, 주요 인사들이 줄줄이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조기 대선이 달아오르고 있다. 국민의힘이 거센 책임론에도 가장 먼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하자, 더불어민주당은 “염치가 있다면 대선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66) 전 국회의원은 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 제7 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진보 진영 대권 주자 중에서는 첫 출마다. 김 전 의원은 "김두관 정부는 국가 경제의 수도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

  •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