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2020년 방죽안~천안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조성

  • 전국
  • 천안시

천안시, 2020년 방죽안~천안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조성

  • 승인 2019-09-23 11:41
  • 신문게재 2019-09-24 14면
  • 박지현 기자박지현 기자


천안시가 2020년 방죽안오거리~천안로사거리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조성해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할 방침이다.

시에 따르면 2020년 하반기를 목표로 13억1300만원을 들여 동남구 신부동 방죽안오거리부터 천안로사거리까지 1km 구간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 구축방안 용역을 의뢰한 결과 방죽안오거리부터 천안로사거리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 구축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천안시는 용역사가 제시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축 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양방향 설치하는 안과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일방향 설치 안 중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한쪽 방향에만 설치하는 안을 최우선적으로 검토 중이다.

시는 천안로사거리에서 방죽안오거리 방향에만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 좌회전과 직진해야 하는 노선의 버스만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사용하고, 우회전해야 하는 노선의 버스는 기존의 시내버스 정류장을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해당 안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구축할 경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는 방죽안오거리에서 신부동더샵오피스텔을 우측으로 끼고 돌아 천안천9길을 이용해 고속터미널과 종합터미널에 진입한다.

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생기면 버스 통행이 원활해지고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는 길가에 시내버스 정류장과 택시 승강장, 고속·시외버스 진입로가 위치해 있어 버스와 택시 등이 엉키며 혼잡이 빚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조성을 검토 중인 만남로는 택시, 버스 등 다양한 교통류가 통행해 혼잡하고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다"며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조성할 경우 혼잡이 완화되고 승객 승하차시 안전성 향상, 택시의 차로점유 감소, 급한 차로변경 등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신부문화거리는 1일 유동인구가 약2만여명으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보행자 교통사고가 37건 발생했다.
천안=박지현 기자 alfzla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2. 천안시의회, '품격있는 지역 축제문화 창출을 위한 연구모임' 1차 간담회 개최
  3. [인터뷰]제14대 충남대 명예교수회 회장 취임한 임용표 명예교수
  4. 산단공 충청본부, '충남 공공주도 산단 태양광 사업추진 협의회' 발대식
  5. 대전 중학교 태블릿PC 시험 중단 원인은? 대전교육청 "무선인터넷망은 괜찮아"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유지' 논란...또 다른 변수는 민주당
  2.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3.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4. '성추행 혐의 기소' 송활섭 대전시의원 징계 촉구 목소리 커져
  5. [사설] 지방 집값 하락 때 취약가구도 는다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매년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충청권 산불 진화 전문인력 운영 체계와 처우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소속 산불 예방진화대는 단기 일자리로 고용돼 60대 이상 노인이 대부분이라 전문 정예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산림청 소속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공무직임에도 불구하고 위험수당조차 받지 못해 정부 차원에서 인력과 예산 지원에 대한 개선 논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법적으로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진화 인력으로 각 지자체마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를 운영 중이다. 현재 대전에서는 71명, 충남은 6..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에 전세 세입자 비율이 감소한 반면,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늘었다는 통계가 나왔다.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부동산 급등기 자산 격차가 확대되면서 가정을 꾸리는 청년 세대의 '주거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도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에 따르면,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와 자가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