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중구 태평동 일대서 한 노인이 도로 아래로 걸어가고 있다. 김연정 수습기자 |
같은 날 오후 2시께 동구 동대전로 한 식당에 앞 두 개의 현수막이 펄럭이고 있다. '무단횡단 사망사고 발생지점-그래도 무단횡단 하시겠습니까'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이곳 또한 지난해 10월 80대 노인이 무단횡단을 하다 사망한 장소다. 30여 걸음만 걸으면 횡단보도에 도달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였지만 노인의 무단횡단을 막지 못한 것이다.
대전시의 무단횡단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 도시 선언에도 불구하고 노인들 중심으로 무단횡단이 수시로 반복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교통사고 사망자 85명인 중 17명(20%)이 무단횡단을 한 노인이었다. 65세 이상 노인 무단횡단 교통사고 사망 건수는 2016년 13건, 2017년 7건, 2018년 17건 등 모두 36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자치구별로는 서구와 동구가 각각 5명, 대덕구 4명, 유성구 2명, 중구 1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사망자가 줄어들지 않자 대전시는 교통안전정책을 마련해 시교육청, 대전경찰 등과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통약자의 안전 환경 조성에 중점으로 두고 안전한 신호시스템 구축과 중앙펜스, 횡단보도 집중 조명 등을 설치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 사고가 난 곳과 사고가 예상되는 곳에 우선적으로 휀스를 설치했다"며 "노인분들이 많이 계신 경로당과 쉼터에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육 등을 활발하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무단횡단 방지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 이외에도 인식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노인들이 무단횡단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성훈 도시건축공간연구소(AURI) 보행안전전문가는 "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인지능력과 대처능력이 떨어져 교통사고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고, 변화하는 교통 환경에 적응하기보다 경험에 의존해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보행안전섬 설치, 횡단보도 설치 간격과 신호주기 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임효인 기자·김연정 수습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