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군역을 해결하고 진학한 대학원 첫 학기 때였다. 은사님은 나직하게 말씀하셨다. "글은 영혼의 외출이다". 내가 쓴 글에 게으름이 덕지덕지 묻어 있을 때, 빈약한 공부가 역력할 때, 맑고 고운 언어로 사람과 사람의 생각을 묘사해내지 못할 때, 묵직한 본질을 가벼운 언어들의 조합으로 어설피 재현할 때, 쓸모없이 과격한 언어로 불필요한 긴장감을 생산할 때, 은사님의 말씀은 회초리가 되었다. 그 때 은사님의 연세는 지금의 필자보다 많지 않으셨다. 글에 대한 은사님의 말씀은 외출 나온 그 분의 영혼이었다.
신문의 1면은 신문의 이념과 종사자들의 역량을 보여주는 곳이다. 신문 1면의 헤드라인은 언론으로서 신문의 양식과 투지, 영혼을 드러내주는 장치다. 한 자의 글도 결코 가벼울 수 없다. 수십 만, 수백 만 유료 독자를 거느린 신문사의 1면 헤드라인은 그 자체로 우리 사회의 역사가 된다. 훗날 이 땅에 살아 갈 후손과 지금 다른 땅들에 거주하는 이방인들이 한국 사회를 검색할 때 신문 헤드라인은 그들을 현재의 한국 사회로 이끄는 길잡이가 될 터이다. 그 무게가 어찌 가벼울 수 있는가.
발화자의 말이 놓인 맥락의 앞뒤를 따져본 뒤 사안의 핵심을 간결하게 헤드라인에 담아야 한다고 배웠다. 더러는 백 마디 말보다 침묵이 본질을 꿰뚫을 때 1면을 백지로 발행하기도 한다. 그런데 보라. 신문 1면은, 더욱이 헤드라인은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이죽거리는 자들의 거칠고 혐오스러운 언어들로 넘쳐나고 있다. 선동하는 자들의 입에서 쏟아져 나오는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언사들을 날 것 그대로 전달한다. 언론은 취재원의 발언을 겹따옴표로 처리하는 데 이골이 났다. 보수적인 언론과 진보적인 언론 간에 차이가 없어 보인다. 마치 좀 더 자극적이고, 점점 더 폭력적인 언사를 기대하는 듯한 언론을 향해 정치인들이 꽃놀이패를 즐기는 형국이다.
얼마 전 전두환 전 대통령이 법정에 소환되었을 때 기자들과 조우했다. 다음 날 진보 성향의 신문 몇 군데 헤드라인은 이랬다. "왜 이래!" 전두환, 또 '광주'를 쐈다, "이거 왜 이래" 광주 또 할퀸 전두환. '왜 이래'라는 발언을 겹따옴표로 제목처리해도 괜찮은가, 광주를 쐈다, 광주를 할퀴었다, 라는 표현은 또 어떤가. 지역판에다가 '광주 땅 밟고도 반성은 없었다'고 헤드라인을 뽑았던 한 신문사는 수도권에 배달되는 판형에서는 '사죄는 없었다' 여섯 자로 헤드라인을 고쳤다. 앞의 열 두자 제목을 보고 또 뒤집어보면서 여섯 글자로 줄였으리라. 거친 말을 쓰지 않아도 여섯 글자로 핵심을 충분히 전달하고 있지 않은가.
헌법재판소 조대현 재판관은 말과 글로 표현하지 않은 것은 언론출판의 자유로 보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설령 말과 글로 표현을 했더라도 민주사회의 토론과 여론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것이라면 헌법상 언론출판의 자유에 속하지 않는다고도 판시했다. 언론은 거칠고 선동적인 정치인들의 입을 위해 마이크를 빌려주는 대여점이 아니다. 노회한 정치인들의 폭력적인 말을 글로 베껴 옮겨주는 것은 언론이 할 일이 아니다. 말이 거친 시대에 자기 말을 하는 언론, 글 옷을 입고 외출 나온 언론의 영혼을 기대한다.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