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리지 않아도 즐길 수 있는데…' 장애인에게 불친절한 대전예술

  • 문화
  • 공연/전시

'들리지 않아도 즐길 수 있는데…' 장애인에게 불친절한 대전예술

예당 앞 점자블록 바닥과 구분 어려워
보호자와 동승하기엔 비좁은 휠체어석
미술관 청각장애인 위한 도슨트 부재

  • 승인 2019-03-31 18:03
  • 신문게재 2019-04-01 6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KakaoTalk_20190326_145051591_01
대전예술의전당 입구에 설치된 점자블록. 은회색 빛을 띠고 있어 바닥과 구분이 어렵다.
'대전 방문의 해'를 맞아 문화도시로의 비상을 꿈꾸는 대전이지만 여전히 장애인들에게는 문화예술 향유의 문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방문한 대전예술의전당과 대전시립미술관은 시각장애인들이 접근하기 조차도 어려운 구조였다.

대전예당 광장에는 점자로 된 보도블록이 한 줄 그어져 있다. 이마저도 왼쪽 입구에 치우쳐 있었는데 눈에 띄지 않는 은회색이었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 뿐 아니라 약시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노란색이다. 장애인 점자블록 설치 기준에도 '표면이 황색을 띄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대전예술의전당 앞 점자블록은 은색, 회색으로 일반 보도블록과 큰 차이가 없었다.



광장에서 공연장이 있는 실내로 들어와도 불편함은 여전했다.

대리석으로 잘 정돈된 바닥이지만 누군가 안내 해 주지 않는다면 어디가 어디인지 알 수 없을 만큼 방향성을 인지하기 어려웠다.

실제로 공연을 보러온 장애인들의 불편함은 상상 이상이었다.

지난 26일 대전예당에서 개최된 '피아노 서커스' 공연에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관람하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다.

한 장애인의 보호자는 "대전예당처럼 큰 공연장에 가보면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아트홀은 규모가 큰 편에 속하는데도 리프트 시설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장애인석이 아닌 앞쪽에서 공연을 관람할 경우 직원들이 직접 업어서 내려다 준다는데, 위험한 소리"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보호자는 "보호자와 장애인이 함께 앉아있기에는 휠체어석이 너무 비좁고 심지어 보호자 좌석은 간이 의자”라며 동행인에 대한 배려가 없다고 전했다.

대전예당 아트홀 휠체어석은 휠체어 두 대와 간이의자 두 개가 겨우 들어가는 정도의 넓이였다.

대전예당 관계자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하우스 매니저가 자리까지 안내하고, 몸이 불편한 관람객은 직접 업어서 앞쪽 좌석으로 이동한다"고 말했다. 이어 "예당 공연장은 1993년 설계 공모해 지어 리프트를 설치하려면 전면 공사를 해야 하는 등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립미술관도 장애인 관람에 미흡한 점이 발견됐다.

휠체어를 타고 제 5전시관으로 이동하려면 건물 밖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만 했다. 실내에 엘리베이터가 없는 탓이다.

또 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도슨트는 마련돼 있지만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 리플릿이나 도록은 전무했다.

시립미술관 관계자는 "보통 장애인들은 개인보다는 단체로 관람을 많이 해 사전 문의를 통해 해설사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다만 아직 청각장애인을 위한 도슨트는 준비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대전광역시장애인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장애인들이 문화를 즐길 수 있다는 인식 자체가 부족한 것 같다"며 "장애 영역은 15개에 달하지만, 현재 문화기관의 장애인 배려시설은 보여주기 식에 그친다"고 말했다. 이어 "음악회, 전시회뿐 아니라 비장애인들이 비교적 쉽게 즐기는 영화조차도 관람하기가 어렵다"며 "배리어 프리(시청각 장애인들에게 화면해설, 자막 등을 제공하는 것)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유진 기자 1226yuji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신정호정원' 본격 개방
  2.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3. 소진공-카카오, 지역 상권 디지털전환 지원사업 업무협약
  4. '제3회 충남도지사배 3쿠션 토너먼트 전국대회' 천안서 성황리 개최
  5. 민주 대권주자 최대승부처 충청서 "세종시대" 합창…각론선 신경전
  1. 아산축협, '사랑의 아산맑은 축산물 나눔행사' 펼쳐
  2. 코닝정밀소재(주), 취약계층 중-고생에 장학금 기탁
  3. 아산시먹거리통합지원센터, "학교급식을 더 안전하게" , 위생점검 실시
  4. 이재명 "충청을 대한민국 성장의 중심으로…세종은 행정수도 완성"
  5. 아산시 인주면행복키움, "어르신 생신 축하드려요"

헤드라인 뉴스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6·3 조기대선 시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정권 재창출에 나선 국민의힘은 본격적인 경선 일정에 돌입하는 가운데 충청권 '배지'들도 당내 각 대선 주자들과의 이합집산이 활발해 지고 있다. 정권 탈환을 노리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대선 승리를 위해선 반드시 이겨야 하는 충청권 공략을 마친 뒤 영남을 거쳐 호남과 수도권 등으로 컨벤션 효과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의 경우 경선 일정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대선링이 뜨거워 지고 있다. 19~20일 진행된 첫 토론회에서 대선 경선 후보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충청권과 영남권 경선에서 잇따라 압승했다. 이 후보는 전통적 캐스팅보트로 최대승부처였던 충청에 이어 당의 험지인 영남에서 파죽의 2연승으로 순회경선 반환점을 지나면서 대세론을 탄탄히 했다는 평가다.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열린 영남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90.81%, 김동연 후보 3.26%, 김경수 후보 5.93% 각각 차지했다. 이재명 후보는 20일 영남 경선 합동연설회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대한민국의 국운이 걸린 절체절명의 선택"이라며 "무너진 민생과..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김치찌개 백반이 전국 최고가를 유지하는 가운데 비빔밥과 자장면 등의 가격이 인상세가 지속되며 지역민들의 외식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1만원 한 장으로 점심때 고를 수 있는 메뉴가 점차 줄어든다. 2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3월 대전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8개 외식 대표 음식 메뉴 일부가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자장면은 3월 7200원으로 2월(7000원)보다 2.8%(200원)로 상승했고, 비빔밥도 이 기간 1만원에서 1만 100원으로 1% 올랐다. 집계된 금액은 지역 외식비 평균 가격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