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산업단지 위치도 |
가로등의 전기요금부터 도로제설, 하수처리장 수선개선까지도 입주기업들이 전부 부담하고 있어 타지역과 비교해 기업활동의 제약요소가 되고 있다.
노후화되고 소규모로 관리사무소도 없는 산업단지를 재생하고 관리체계를 정립해 기업활동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다.
대전세종연구원은 '세종시 산업단지 관리 개선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세종시 16개 산업단지에 168개 기업이입주해 1만 300여명이 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의 생산활동으로 연간 3조8124억원의 부가가치가 만들어지는 데 이는 세종시가 2015년 기록한 전체 생산액의 45%를 차지하는 규모다.
세종시 산업활동의 절반이 16개 산업단지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부강산단(1조4712억원)>전의산단(7615억원)>조치원산단(6650억원)' 순으로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다.
그러나 세종 산업단지는 입주기업들은 타지역의 산단에서는 부담하지 않아도 되는 공공시설의 유지관리까지 떠맡고 있는 실정이다.
가로등의 전기요금과 도로 제설작업 및 염화칼슘 확보, 가로수 해충방제와 낙엽수거, 파손된 도로 긴급복구 등 공공시설을 입주기업이 납부하는 관리비에서 유지관리되고 있다.
특히, 산업단지 노후화에 따른 기업 생산효율 저하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16곳 중 9개 산업단지가 조성된 지 20년 이상 노후산단이고 노장·청송·부용·조치원·응암산업단지는 30년 이상 경과 됐다.
폐수를 정화하는 폐수처리장과 정수장의 노후된 시설을 교체해야 하지만, 지자체의 지원 없고 입주기업들의 부담이 커 제때 정비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입주기업체협의회나 관리사무소조차 없는 산업단지는 입주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단도 없는 실정이다.
타지역에서는 산업단지 내 도로와 가로수 등의 공공시설은 해당 구청의 담당 부서에서 모두 관리하고 산단특별회계를 통해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세종시 한 산업단지 관계자는 "산단 내 보육시설처럼 복지시설이 없어 근로환경이 갈수록 낙후되고 노후화된 도로와 폐수처리장 등의 공공시설의 관리를 입주기업이 도맡고 있어 개선 목소리가 높다"라고 설명했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