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념일 된 '3·8 민주의거' 배재대 이승만 동상 철거여론 힘 실어

  • 사회/교육
  • 사건/사고

국가기념일 된 '3·8 민주의거' 배재대 이승만 동상 철거여론 힘 실어

재학생·교수 포함 53개 시민단체 철거촉구 기자회견

  • 승인 2018-11-07 16:55
  • 신문게재 2018-11-08 5면
  • 한윤창 기자한윤창 기자
20181107-이승만 동상 철거 기자회견
'이승만 동상 철거 공동행동'이 7일 오후 배재대 정문 앞에서 동상 철거 기자회견을 열었다. / 사진= 이성희 기자
4·19 혁명의 계기가 된 '3·8 민주의거'가 지난달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배재대의 이승만 동상 철거 여론이 힘을 받고 있다. 민주화에 대한 재조명이 강조되면서 지역에서도 이 전 대통령 동상의 입지가 시대 흐름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나온다.

배재대 재학생·졸업생 포함 53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승만 동상 철거 공동행동'은 7일 오후 2시 배재대 정문 앞에서 동상 철거 기자회견을 열었다. 20여 명의 단체 회원이 참석해 규탄 발언을 이어갔다.

김영진 독립유공자유족회 대전지회 간사는 "배재대의 이승만 동상은 베를린 대학에 히틀러 동상이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이승만 동상을 자진 철거하고 대전의 3·8 민주의거 정신을 되찾아야 한다"고 성토했다.

배재대 4학년에 재학 중인 이해솔 씨는 "3·8 민주의거 당시 대전에서는 고등학생 1600여 명이 참여해 불의에 맞서 싸웠다"며 "학교의 이승만 동상 철거로 민족정기가 바로 서는 날이 오길 기원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4월 19일에 맞춰 발족한 '이승만 동상 철거 공동행동'은 동상 철거를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을 해 왔다. 4월 합동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5월 집중 선전의 날, 7월 서구 의회 개원식 취지문 발표를 진행했다. 9월 오광영 시의원이 '반민족·반헌법행위자 단죄 및 국립현충원묘소이장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하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교원들도 동상 철거에 동참하고 있다. 김종서 법학과 교수는 올해 6~7월 이 전 대통령 동상 앞에서 철거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상시 진행한 바 있다. 1인 시위에 동참했던 이규봉 컴퓨터수학과 교수는 "100만 민간인 학살·헌법 유린·한국전쟁 당시 책임회피 등 이 전 대통령의 과오는 이루 말할 수 없이 많다"며 "동상 철거를 적극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오랜 이념 분쟁을 종식시키고 학구적 분위기를 재건하기 위해 동상 철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배재대 학생들 사이에서 나온다.

배재대 3학년 유 모 씨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은 세계대전 이후 이 땅에서 자유주의를 수호한 공이 분명 존재한다"면서도 "지속적으로 논란이 발생하는 인물인 만큼 안정적 학풍을 위해 철거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학년 재학생 김 모 씨는 "계속되는 논란으로 인한 피로감이 쌓인다는 학생도 많다"며 "동상이 존재하는 한 논란은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윤창 기자 storm023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尹파면] 6월 3일 '장미대선' 유력... 정치권 움직임 분주
  2.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3. [尹파면] 개헌론 대선링 흔드나 … 행정수도 개헌 시대적 사명
  4. [尹파면] 전원일치 인용에 충청 시도지사 "존중"
  5. "이제는 안정과 화합이다" 지역민 목소리
  1. [尹파면] 조기대선 민주-국힘 사생결단 총력전 … 중도층 향배 최대 관건
  2. [尹파면] 조기대선 레이스 진보 이재명 보수 김문수 선두
  3. [尹파면] 헌재 '헌법정신' 전면부각 국민통합 메시지
  4. 대전 문평동 폐기물처리업체 화재…초진 완료 후 잔불 정리 중 (종합)
  5. [尹파면] 대전 진보 자치구의장들 "민주주의 회복, 일상 회복 전념해야"

헤드라인 뉴스


조기대선 6월 3일로 잠정결정…정식 후보자 등록 5월 11일

조기대선 6월 3일로 잠정결정…정식 후보자 등록 5월 1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파면되면서 대통령 선거일이 오는 6월 3일로 잠정 확정됐다. 정치권에 따르면 8일 열리는 정례 국무회의에서 해당 안건을 상정하고 대선일을 공식 공고할 예정이다.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확정한 다음 날부터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며 선거일은 50일 전까지 공고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14일까지 5월 24일부터 6월 3일 사이 중 하루를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해야 한다. 대선일은 통상 수요일로 규정돼 있으나..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미국발 관세 쇼크 등 대내외 악재로 국내 고용시장의 위기감이 감돈다.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역대 3월 기준으로 2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면서다. 특히 오랜 기간 침체를 겪고 있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3만 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4000명(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199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낮..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윤석열 파면 후 첫 월요일, 주요 인사들이 줄줄이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조기 대선이 달아오르고 있다. 국민의힘이 거센 책임론에도 가장 먼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하자, 더불어민주당은 “염치가 있다면 대선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66) 전 국회의원은 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 제7 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진보 진영 대권 주자 중에서는 첫 출마다. 김 전 의원은 "김두관 정부는 국가 경제의 수도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