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래]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 문화
  • 문화/출판

[나의 노래]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 승인 2018-11-05 15:09
  • 수정 2018-11-05 23:23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프레디 머큐리
연합뉴스
오페라인가, 대중음악인가. 7분이라는 전무후무한 긴 시간의 팝 음악은 지금도 존재하지 않는다. '보헤미안 랩소디'. 화려한 사운드와 그룹 퀸의 천재적 음악성은 지금까지 아니, 앞으로도 불멸의 음악으로 확고한 자리를 지킬 것이다.

대학 때 기숙사에서 늦은 밤까지 FM 라디오를 듣는 것은 유일한 낙이었다. 군사독재의 엄혹한 현실에서 캠퍼스의 낭만은 사치였다. 강의는 결강하기 일쑤였고 화사한 벚꽃 아래 봄꽃의 향기는 취루탄 냄새로 대체되었다. 오월의 봄은 퇴색된 지 오래. 독재자의 민심 수습용 올림픽은 무사히 치러졌지만 독재의 상흔은 아물지 않은 채 삶을 견디는 시간들은 더디 흘러갔다.

늦은 밤 카세트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모기소리만한 음악에 귀를 기울이며 감동의 눈물을 흘리지 않은 자 어디 있으랴. 귀를 후벼파는 기계음과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조의 고성, 화려한 아카펠라. 이건 뭐지? 꿈결인 듯, 현실인 듯 놀이기구를 타는 듯한 현기증을 불러일으키는 '보헤미안 랩소디'와의 랑데부는 오랫동안 각인되기에 충분했다.

이국적인 용모의 프레디 머큐리의 잘 빠진 몸을 드러내는 타이트한 옷차림과 화려한 액세서리. 그리고 짙은 콧수염과 뻐드렁니. 그 입에서 터져나오는 괴성같은 창법은 누구도 따라갈수 없는 독보적인 것이었다. "마마, 사람을 죽였어요, 머리에 겨눈 총구로 방아쇠를 당겨 죽였어요, 난 죽기 싫어요, 난 태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걸." 프레디의 절규가 가슴을 후벼판다.



'퀸'의 재현이다. 지난날의 향수는 달콤하지 않다. 회한과 눈물이 앞을 가린다.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디트가 다 올라가도 관객들은 일어설 줄 모른다. 프레디 머큐리는 갔지만 그의 신화는 굳건하다. 이민자의 설움과 외로움이 퀸의 자양분이었고 관객의 몫은 차고 넘친다. 안녕 프레디, 안녕 퀸.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월평동 회전교차로서 1m 깊이 싱크홀 발생
  2. 세종도시교통공사-대전도시공사 손잡았다
  3. 세종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세종 청소년들 마음 건강 지원
  4. 세종시 금남면 용포리, 세종시 3번째 치매안심마을 지정
  5. 아동권리 증진 및 나눔문화 확산 위한 업무협약
  1. 대전성모병원 최은석 의무원장 복지부장관상
  2. 해든유치원 심우경 원장, 산불 피해 주민 위해 100만 원 기부
  3. [사설] 서울대 세종 이전론 꺼내든 이유 있다
  4. 11일 충남서 잇달아 산불…"작은 불씨도 주의"
  5. 尹 파면 일주일만에 관저 퇴거… 대국민 사과 없이 사저행

헤드라인 뉴스


보문산에 흑연 채석장 발견… 대전最古 동아연필 연계성 주목

보문산에 흑연 채석장 발견… 대전最古 동아연필 연계성 주목

대전 보문산에서 일제강점기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이 새롭게 확인됐다. 도로 하나 놓기도 어려운 시절 보문산 중턱까지 임도를 개척해 흑연을 채취하던 채석장으로 대전 최고(最古) 기업인 동아연필과의 연계성에 주목하고 있다. 10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중구 문화동 한밭도서관과 충남대병원 뒤편의 보문산 중턱에서 앞서 발견된 굴착 흔적은 지하자원의 하나인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으로 확인됐다. 이곳은 1948년 촬영된 보문산 항공사진에서 산 중턱까지 차량이 오르내리는 도로가 확인되는 곳이다. 충남대병원 주변에 도로가 없을 때 채석 이뤄진..

김종민 의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 정당 모두 합의하자”
김종민 의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 정당 모두 합의하자”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3선·세종시갑)이 10일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는 정당 모두 합의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며 정당 간 합의를 통한 조속한 결정과 추진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 대통령은 당선 직후 인수위 없이 바로 집무를 시작한다”며 “용산은 국민이 불신하고 청와대는 국민 개방으로 갈 데가 없다.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할 것인지 정당 간 합의로 조속히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 따로, 공무원 따로, 제대로 국정 운영이 될 수 없다. 정부 장·차관과..

대전 어디 가지?…화려한 예술 전시·공연 풍부
대전 어디 가지?…화려한 예술 전시·공연 풍부

2025년 봄, 대전은 예술로 물들고 있다. 합창의 울림, 앙상블의 선율, 바이올린의 열정, 연극의 메시지, 서예의 향기가 여기 대전, 한 자리에 모인다. 따스한 봄에 펼쳐지는 예술의 향연은 대전의 심장을 뛰게 하고 우리의 영혼을 깨운다. 각 공연과 전시가 주는 특별한 매력을 통해 관객들은 새로운 감동과 사유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대전의 공연과 전시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대전시립합창단 = 대전시립합창단 제170회 정기연주회 바흐 '요한 수난곡 Version Ⅱ'가 오는 4월 18일(금) 오후 7시 30분, 대전예술의전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

  • 유성구 장애인종합복지관 균열 발견…신속 안전조치 유성구 장애인종합복지관 균열 발견…신속 안전조치

  • ‘불꽃 튀는 열정으로’ ‘불꽃 튀는 열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