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정문현 교수 |
이에 반해 체육 비전문가가 92%에 육박한다고 발표했다.
공공스포츠클럽은 지역의 체육시설을 거점으로 다계층, 다연령대의 회원에게 다종목, 다수준 프로그램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지역 기반 스포츠클럽을 말한다.
2013년도 이전부터 종합형스포츠클럽-K스포츠 클럽-공공스포츠클럽으로 이름을 바꿔가며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선진형 스포츠 선순환 시스템을 만들고자 십 수년째 공들여오고 있는 사업으로 아직도 성공하지 못한 사업이다.
공공스포츠클럽의 모델인 독일은 스포츠클럽이 비영리법인으로 등록(사업비 지원, 조세 감면, 무상임대 등)되며,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는데 그 원동력은 우수한 시설의 무상사용과 자원봉사 지도자들의 자발적 지도 및 행정 지원(인력의 88% 이상)에 있다.
일본은 NPO(비영리단체) 등록 단체에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다종목의 대부분을 자원봉사자로 운영하며 문화활동도 병행하고 있고 학교체육 시설을 활용(사용 시설의 89%)하여 사회문제도 해결하고 지역 커뮤니티의 장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눈치챘겠지만 이들의 핵심단어는 시설 무상임대, 세재 혜택, 전문체육인 출신 자원봉사, 행정지원이다.
우리나라에 정착시킨다는 공공스포츠클럽의 모습 어디에서도 이런 단어를 찾아볼 수가 없다. 지자체 소유의 시설은 무상임대가 안 되며, 세제혜택도 없고, 자원봉사자도 없으며, 인력은 체육 비전문가(92%)로 채워지고 있다.
문체부와 대한체육회는 지난 몇 년간 공공스포츠클럽 공모 사업의 참가자격을 지방자치단체로 제한하고 필수 매칭 비용인 10%를 지방비에서 내도록 하여 관 조직만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는 비체육인인 지자체·지방공기업·지방체육회 출신(47.07%)과 체육 비관련 분야 출신(44.59%)이 임원을 차지하도록 했다(92%).
이제야 지방자치단체 외에도 체육 관련 단체, 대학교, 사회적 협동조합 등도 가능하다고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지난 과오는 지워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국가 100년 대계를 세울 프로젝트에 체육전문 인력이 6.08%에 그치고 마는 결과를 초래했다.
스포츠클럽은 총괄매니저의 역할이 성공을 좌우한다.
3년간 총 9억 원을 국가가 지원하는 공공스포츠클럽의 과제는 사회공헌과 수익창출, 선수양성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그래서 공공스포츠클럽 운영자는 전문체육과 생활체육, 프로스포츠를 이해하고 스포츠마케팅과 스포츠시설운영, 선수마케팅을 이해하고 운영할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체육 전문 인력이 고작 6.08%라니! 맙소사!
공공스포츠클럽이 성공하려면 반드시 그 지역의 스타 선수들이 참여해야 한다. 스타 선수들이 적절한 명분으로 온당한 보수를 받고, 자신이 성장한 지역에 봉사하게 해야 스타를 보고 또 다른 스타가 성장하는 순환 시스템이 정착된다.
이런 순환이 반복될 때 대한민국은 진정으로 선진형 스포츠클럽을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체육행정이 아무리 잘못돼도 체육인들은 아무런 말도 없고 저항도 없다. 또 체육시설을 소유하고 있는 지자체가 공익시설인 체육시설을 절대로 무상으로 체육시설을 장기임대해 줄 수도 없다.
공공스포츠클럽 모델은 최초 3년 동안은 정부 지원을 받지만, 그 이후에는 자생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사업비가 지원되는 초기에는 이것저것을 지원해 주니까 교육생들이 억지로라도 모이는데 3년 후 모든 것을 유료로 전환하여 비용을 내라고 하면 모두 사라져버린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