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세상]숲과 일자리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아침세상]숲과 일자리

윤영균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

  • 승인 2018-08-08 17:36
  • 신문게재 2018-08-06 21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KakaoTalk_20180805_122728072
윤영균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
숲은 우리 삶의 기반이다. 우리가 매일 먹고, 마시고, 숨 쉬는 모든 것의 근원이 숲이다. 또한, 숲은 인간이 유사(有史) 이전부터 지금까지 삶을 꾸려가는 터전이었다. 도시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삶의 주 무대에서 잠깐 멀어진 듯했으나 최근 들어 다시금'숲세권'이라는 신조어가 말해주는 것처럼 숲과 가까운 삶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특히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한 귀산촌 인구의 증가세가 가파르다. 청년 귀산촌인구도 2016년 기준 34%를 차지할 정도로 점차 숲에서의 삶이 사람들의 로망에서 실천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숲에서의 일자리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숲과 일자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숲은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국가자원이자 국민 모두의 공동자원으로서 늘 우리 삶과 밀접하게 존재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일자리도 꾸준히 창출되어 왔다.

1970년대 황폐했던 민둥산을 푸른 산림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이 조림에 투입되었다. 이 시기에 조림한 나무들이 자라나서 목재생산, 청정임산물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고, 이후 산림과 산림 내 서식하는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산림생명산업과 바이오산업, 해외자원개발 산업의 발전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일자리가 확대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산림일자리는 곧 전통 임업이라는 인식이 바뀌기 시작했다. EU의 경우 전통적인 목재생산 위주의 임업에서 도시와 환경, 휴양과 문화까지 아우르는 인식의 전환을 통해 도시임업전문가(Urban forester)와 같은 녹색산림일자리를 발굴하고 이를 직업교육과 연계하여 양질의 일자리로 성장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녹색일자리 사업으로 현장기능인을 육성하고, 임업분야 청년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5일 근무제의 정착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국민들은 산림에서 목재, 임산물과 같은 재화뿐만 아니라 휴양, 교육, 치유, 레포츠, 문화 등 다양한 유·무형의 서비스에 대해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적 수요를 반영하여 풍요로운 숲을 통해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산림복지라는 개념이 대두되었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과 전문업종이 등장하게 되었다. 국민들에게 가장 친숙한 숲해설가,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과 정서함양을 위한 유아숲지도사, 산림의 다양한 치유요소들을 활용하여 건강증진을 돕는 산림치유지도사, 이 전문가들이 모여서 설립한 산림복지전문업 등, 산림을 이용하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산림을 느끼고 즐기는 시대가 왔다. 산림을 한단계 더 고차원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 속에서 다양한 일자리가 파생된 것이다.

또한 지금은 산림의 6차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신기술의 확산에 따라 ICT 산업, 스마트양묘 등과 같이 기존 산업간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경제 역시 산림과 결합하여 산림형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의 새로운 형태의 기업으로 나타나고 있고, 숲과 지역과 사람을 연결하여 지역발전에 이바지하는 그루매니저도 이제 막 첫 걸음을 떼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양상 속에서 산림청은 공공과 민간, 사회적경제의 3개 분야를 강조하는 「산림일자리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다. 일자리 수의 증가, 고용의 질 개선 및 사회적 가치 제고를 목표로 공공일자리의 비중은 낮추고 민간 일자리 비중을 높이는 재정투자 및 고용창출을 추진 중이다. 이에 발맞춰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공공기관에서도 산림일자리의 양적·질적 증가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아직은 발아의 시기이다. 다양한 씨앗들이 큰 나무로 자라나 잎과 열매로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휴식의 그늘을 주는 것처럼, 지금 뿌려진 일자리의 씨앗들이 잘 자라나 우리 세대의 청년들과 그 다음세대의 청년들에게도 든든한 그늘이 될 수 있도록 정성껏 돌보고 보살펴야한다. 국민 모두에게 희망이 될 수 있는 숲, 그리고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주역학으로 풀어보는 2025년 대한민국의 운세
  2. 대전하나시티즌, 김창수·홍덕기 코치 신규 선임
  3. [날씨] 충청권 구름 사이 새해 일출…아침 기온 낮아 추워
  4. 대전웰니스병원, 대전시씨름협회와 업무 협약 체결
  5. 2025년 세종예술의전당서 만날 특별한 공연 미리보기
  1. 2027 충청권 하계U대회 선수촌 조기 착공...성공 개최 신호탄
  2. 2025년 정부의 '인구·출산율·지방소멸' 대응안, 무엇이 달라지나
  3. 2024년 세종시 전입가구 절반 이상은 '충청권'
  4. 대전성모병원, 긴급구조활동 기여 공로 대전시장 표창
  5. [건강]부정난시, 원추각막에 효과적인 공막렌즈

헤드라인 뉴스


2025 을사년, 충청 정가 정치구도 요동… "조기 대선, 재보궐, 지역정당"

2025 을사년, 충청 정가 정치구도 요동… "조기 대선, 재보궐, 지역정당"

충청 정가의 2025년 을사년은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각종 정치 이슈가 잇따를 전망이다. 당장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늦어도 8월 전 조기 대선이 열릴 수 있는 데다, 지역 민심을 확인할 수 있는 4·2 재·보궐도 예정돼있다. 충청 기반의 지역정당 창당 시나리오도 존재해 정치 지형의 개편과 함께 진영 대결 구도가 더욱 굳어질 가능성도 커 보인다. 올해 정치권의 최대 화두는 조기 대선이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하면, 윤 대통령은 파면되고 60일 이내 대선을 치러야 한다. 탄핵 심판 사건 접수 후 180일 내 선..

[2025 신년호] 新 중도시대  `세종 르네상스` 로 열자
[2025 신년호] 新 중도시대 '세종 르네상스' 로 열자

격랑 속 대한민국 호(號)를 구원할 시대적 과업으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 재차 주목받고 있다. 불확실한 정국 리스크 속 수도권 초집중 중병도 앓는 우리나라를 정상궤도로 재진입시키기 위해선 새로운 중도(中都) 시대 개막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신 중도시대 핵심은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시 완전이전이다. 이는 21년 전 헌법재판소 관습법 위헌 판결로 아직도 '반쪽 행정수도'에 머물러 있는 세종시를 반석 위에 올리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다. 애초 우리가 꿈꿨던 행정수도를 되찾는 이른바 '세종 르네상스' 견인의 역사적 책무가 56..

대전상의, 새해에도 50인 미만 사업장 안전관리체계구축 돕는다
대전상의, 새해에도 50인 미만 사업장 안전관리체계구축 돕는다

대전상공회의소(회장 정태희)가 을사년 새해에도 지역 내 산업안전보건인력이 부족한 사업장의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돕는다. 대전상의는 지난해에 이어 '2025년 위험성 평가 중심의 안전관리체계 구축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참가 자격은 대전상의 관할 대전을 비롯해 충남 8개 시·군(공주·보령·논산·계룡·금산·부여·서천·청양)에 소재한 회원사 중 근로자 수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이다. 총 15개사를 최종 선정할 계획으로, 별도의 업종 제한은 없다. 이번 지원사업은 지난해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종시 비추는 태양…‘이제는 세종시대’ 세종시 비추는 태양…‘이제는 세종시대’

  • 차분하게 맞이하는 새해 첫 날 휴일 차분하게 맞이하는 새해 첫 날 휴일

  • ‘내란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즉시 공포하라’ ‘내란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즉시 공포하라’

  •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2024년 ‘아듀’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2024년 ‘아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