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레일은 그동안 사업시행자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대전역세권 개발에서는 발을 빼는 모양새였다.
세 번째 도전을 선언한 후 곳곳에서 질책성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또다시 공모와 설명회 등 형식절차로만 대응할 경우 대전역세권 개발은 무산되고 코레일 또한 실패했다는 꼬리표를 달 수 있기 때문이다.
코레일이 풀어야 할 숙제는 역시 민간사업자를 찾는 일이다.
10년 동안 대전역세권 개발에 관심을 보인 대기업이 있기는 했지만, 사업성과 인근 상인과의 협상 불발로 모두 포기했다. 서울역을 제외하고는 민자유치가 시행된 광역도시는 대부분 1개 역에 1개 대기업이 들어오는 1대1 민자유치가 이뤄졌다.
그러나 대전은 상황이 다르다.
개발사업비만 1조원이 넘는다. 역세권 개발이 이뤄지는 복합 2구역은 3만 2444㎡로 면적 또한 광범위해 단독으로 민간사업자가 들어오기에는 쉽지 않다는 게 유통업계의 얘기다.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언급됐던 4대 유통 대기업의 내외부적 상황이 여의치 않기 때문에 민간사업자 물색의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것도 이런 이유서다. 단독사업자만 찾지 말고 대기업 컨소시엄이나 해외 자본을 적극적으로 들여올 수 있도록 대안과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타이밍이라는 것이다.
지역 경제관계자는 “대규모 아파트를 지을 때 대기업 건설사들이 의기투합하는 컨소시엄 방식을 대전역세권 개발에 적용해야 한다”며 “단독으로 1조를 투자해야 하는 만큼 여러 곳에서 자본을 모으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컨소시엄 형식의 민간사업자 공모가 성사되면 역세권 개발 전국 최초가 된다.
대전에 해외 자본이 들어온 사례도 있다. 갑천도시고속화도로는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근거해 건설된 국내 최초의 외자 유치(프랑스 이즈스社) 민간투자 사업이다. 국내 민간자본으로 어렵다면, 외자 유치 또한 고민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코레일은 11월께 민간사업자 공모에 앞서 상생협약이 마무리되면 민간사업자 대상 사업 설명회를 연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