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시재생 뉴딜사업 시작부터 '삐걱'

  • 정치/행정
  • 대전

대전 도시재생 뉴딜사업 시작부터 '삐걱'

4곳중 2곳서 담합의혹, 주민공동체와 마찰
풀뿌리여성마을숲 "예산 편성, 마을조직 소홀"

  • 승인 2018-05-03 14:04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AKR20180502176500063_01_i
대전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역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고 있다.

지난해 국토교통부 공모제안 사업에 선정된 4곳 중 2곳에서 사업자 선정 담합 의혹이 생기거나 주민 공동체와 마찰이 빚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17일부터 중구청 앞에서는 매일 중구 중촌동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관련해 주민들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시위를 벌이는 단체는 풀뿌리여성마을숲으로 지난해 중구가 국토부에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중촌동 주민공동체 일원으로 활동 내역 등을 포함 시킨 마을 조직이다.



민양운 풀뿌리여성마을숲 공동대표는 "중구가 마을공동체 자원을 활용해 공모사업에 선정됐지만 막상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예산 편성에 있어 마을조직을 소홀히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중구 관계자는 "지난해 사업을 추진하던 당시 공모 일정이 촉박해 시간적 여유가 없어 죄송한 점이 있다"며 "협의회를 아직 구성하지 않았지만 5월 용역발주 중에 함께 계획 중이다. 당연히 풀뿌리여성마을숲 단체도 포함 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3일 현장지원센터를 개소한 동구 가오동 도시재생 사업지역도 시끄럽다.

현재 대전시 감사실에서 용역사업 공모 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파헤치기 위해 감사 착수에 들어간 상태다.

동구가 발주한 '가오 새텃말 살리기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수립 용역'에 기업 2곳이 참여했는데 공모에 참여한 업체 대표가 부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담합 의혹이 제기 됐다.

용역 수행자로 선정된 회사의 대표는 남편이고 탈락된 업체는 아내가 운영하고 있는데 공모 사업 유찰을 막기 위해 아내도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뒷말이 무성하다. 공모 사업 참여 업체가 한 곳이면 유찰된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시는 이러한 뉴딜 사업 추진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논란을 일축했다.

시 관계자는 "뉴딜 사업은 시작부터 민간이 주도하는 것으로 세부적인 사업 내용은 각 자치구에서 도맡고 있다"며 "지난해 선정된 4곳 중 2곳인 유성구와 대덕구는 순탄하게 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모든 곳이 논란이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전유진 기자 victory330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8개 잔여공구 발주 요청… 건설업계 '예의주시'
  2. 멈췄던 경찰 인사 진행되나…치안정감 승진 인사에 21일 승진시험 예정
  3. 서울 84㎡ 분양가의 1/8...세종시 무순위 청약 주목
  4. 교원 정원 4885명 감축 담긴 시행령안 입법예고… 교총 "절대 반대"
  5. '올해가 마지막' 지역대 글로컬대학30 향해 막판 스퍼트
  1. [세상읽기] 라이즈와 글로컬대학
  2. [사설]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언제까지 미루나
  3. [사설]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이 의료공백 ‘쌈짓돈’인가
  4. 충남도, 올해 첫 추경으로 소상공인 현물 지원 575억 반영 요구
  5. [사설] '라이즈' 사업 성패, 평가 공정성에 달려

헤드라인 뉴스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권 대학들이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인한 재정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서 십 수년 만에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등록금을 내야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치솟는 물가상승률에 학비 인상까지 더해져 시름이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학 등록금심의위원회 결과 대전대를 제외한 4년제 사립대 모든 곳이 등록금을 인상한다. 이 중 한남대가 5.49%로 인상 폭이 가장 크다. 한남대는 2011년 인문대학, 간호대학 등 특정 단과대학에 한해 등록금을 최대 7.7%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2012년 5% 인하를 시작으..

경기침체 장기화에 국내 상장사들도 휘청... 5곳 중 1곳이 한계기업
경기침체 장기화에 국내 상장사들도 휘청... 5곳 중 1곳이 한계기업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내 상장사들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업이익만으로 대출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세계 주요국(G5+한국) 상장사 한계기업 추이 비교분석 결과를 6일 발표했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미만인 기업을 의미하며, 이번 분석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G5 국가와 비교했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상장사 중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9.5%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7.2%에서 12.3%포인..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