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연구자 24명 과학기술진흥 유공자 됐다

  • 경제/과학
  • IT/과학

대덕특구 연구자 24명 과학기술진흥 유공자 됐다

과학의날 기념식서 훈포장 받아
국무총리상 8명으로 최다 인원

  • 승인 2018-04-22 08:15
  • 김시내 기자김시내 기자
DSC00324
이낙연 국무총리가 박용근 KAIST 교수에게 과학기술 포장을 시상하고 있다.
제 51회 '과학의 날(4월21일)'과 '정보 통신의 날(4월22일)'을 맞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기념식과 유공자 훈포장이 수여됐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과학기술 진흥과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에 직접 상패를 전달했다. 이 가운데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원의 교수와 연구원도 대거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김성진 카이스트 교수는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의 영예를 안았다.

과학기술 훈장 웅비장은 안화용 한국연구재단 기획조정실장, 과학기술 훈장 도약장은 엄천일 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과학기술 훈장 진보장은 김장성 생명공학연구원 부원장, 신현규 한의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필우 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영주 지질자원연구원 글로벌협력부장이 받았다.



박용근 카이스트 교수는 시간 역전 반사를 통한 광산란 제어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과학기술 포장을 수상했다.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3000배 향상하는 등 광물리학문 발전 공로다.

김남순 생명연 책임연구원과 장희동 지질연 책임연구원도 과학기술 포장을 받았다.

대통령 표창에는 박병곤 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양찬호 카이스트 교수, 박성제 기계연 책임연구원, 이종만 표준연 책임연구원, 조은위 생명연 책임연구원이 이름을 올렸다.

국무총리 표창 24명 중 8명은 출연연 연구자들이다.

이성규 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명현 카이스트 부교수, 김승관 표준연 책임연구원, 이두용·김희숙 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영운 화학연 책임연구원, 김진영 기초과학연 책임연구원, 김한석 기계연 책임연구원 등이다.

김영길 전자통신연 그룹장은 정보통신 발전 분야 근정포장을 대표 수상했다.

김영길 그룹장은 한·영 특허문서 자동번역과 한국어 대화체 자동번역 기술, 음성 인공지능 API 플랫폼을 개발해 AI사업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다.

이해미·김시내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4.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5.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1.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2.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3.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4.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5. [S석 한컷]두 말 필요없는 완벽한 패배 K리그1 7R 대전 VS 전북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