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2. 대전 중구 오류동 중도일보 주변

  • 경제/과학
  •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2. 대전 중구 오류동 중도일보 주변

  • 승인 2017-10-01 12:47
  • 수정 2017-10-02 10:43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20170930_120909
대전 중구 오류동 중도일보 사옥 주변은 KEB하나은행 등 대전지역을 대표하는 콜센터 밀집지역으로 일일 유동인구가 비교적 많은 편이다.


2. 대전 중구 오류동 중도일보 주변

난감한 문의가 들어왔다. 대전 중구 오류동에 거주하는 L 씨는 중도일보 근처에서 음식점을 해보려고 한다는 것이다. 아직 업종을 선택한 것도 아니고 정확한 위치도 결정하지 못했다고 한다.

L 씨는 중구 오류동 중도일보 근처가 대전지역에서 내로라하는 콜센터가 여러 개 있다는 사실에 막연하게 음식점을 해봤으면 하는 생각이 깊었다.

하지만 이를 어쩌나.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비교 상대가 있어야 하는데…, 참으로 곤란한 지경이다.



L 씨의 집요한 문의에 오류동 지역상권은 과연 어떤지부터 살펴본다.

▲상권평가= 중구 오류동 중도일보를 중심으로 오류동과 용두동 일대의 상권평가는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3등급에 해당한다.

상권평가 등급은 상권 내 음식, 소매, 서비스업의 전반적인 업종경기와 상권의 인구수, 교통시설, 집객시설 등을 종합해 산출하는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상권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3등급인 이 지역은 성장성과 영업력이 향상하고 있다는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안정성과 구매력이 떨어지는 부정적 요인이 있음을 확실히 알아야겠다.

이 지역 상권을 지수로 나타내면 55점으로 대전시 전체 행정동 평가지수 52.7보다 높다. 오류동이 57.3이고, 용두동은 52.6이다.

앞서 소개했듯이 이 지역은 손님 유인력과 영업력, 성장성에서 비교적 나은 점수를 받을 반면 구매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평가지수를 반영하는 세부평가 항목별 점수는 손님 유인력 14.6점, 영업력 12.3점, 성장성 10.2점, 안정성 9.4점, 구매력 8.6점 순이다. 항목별 만점은 20점 기준으로 총 100점이다.

여기서 이 지역의 손님 유인력 지수는 유동인구가 10점 만점에 8.6점, 상권 내 거주민 수를 비교점수가 5점 만점에 2.5점, 상권 내 직장인 수를 상대 비교한 점수가 5점 만점에 3.6점으로 조사됐다.

▲입지평가= 입지는 중도일보 인근 오류동 일대를 중심으로 2등급에 해당한다. 입지 주변 잠재고객 수는 일일 평균 반경 500m 내 통행인구가 4만1528명, 1㎞ 내 주거인구는 6만8000명, 1㎞ 내 직장인구는 2만9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음식업종별로는 커피전문점과 제과점, 라면·김밥 등 분식, 도시락전문, 중국음식 등이 1등급으로 분류됐다. 그러나 분식이라도 떡볶이 전문은 3등급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이외 죽 전문점, 족발/보쌈전문, 곱창/양구이전문, 양식 등이 3등급으로 평가됐다.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자료에 따라 중도일보를 중심으로 오류동 지역에서 음식점업을 하려면 도시락 전문, 라면/김밥 분식, 제과점, 중국음식, 커피전문점 등이 기대매출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편 올들어 지난 7월 현재 대전 중구지역의 커피전문점 월평균매출액은 1200만원(건 단가 8739원), 분식 1761만원(건 단가 1만4908원), 중식 2513만원(건 단가 2만2115원), 제과 1807만원(건 단가 1만1785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업종분석= 앞서 살펴본 입지평가를 중심으로 오류동 중도일보 주변의 라면 김밥 분식·국수/만두/칼국수·우동전문점의 추이는 김밥 분식이 2015년 6월 16곳에서 올들어 6월 현재 30개로 정점을 찍고, 9월 현재는 17곳이 영업 중이다.

국수/만두/칼국수는 2015년 6월 12개에서 지난해 12월 19개로 증가했으나 올들어 9월 현재 8곳으로 줄어들었다.

우동 전문점은 2015년 6월부터 올들어 9월까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막연하게 자영업, 그중에 음식점업을 해봤으면 하는 L 씨에게 어느 정도 고민을 덜어주고 작으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 이승규 기자 es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수원동 싱크홀 발견…주민 민원에도 조사 없이 넘어갔다가 재발
  2. [2025 과학의 날] 도전과 혁신의 40년, 바이오 미래를 여는 생명연
  3. 조기대선 중반전 충청판세는 李 독주 국힘 주자들 추격전
  4. 깊고넓은 콘크리트 농수로 생태계 위협…야생동물 떼죽음 '속수무책'
  5. 특수학생 챙기는 특수교육실무원들 "교육복지 재정과 인력 확충해야"
  1. 대전시-한밭대, 반도체 중심 지역혁신 선도
  2. 의대 정원 다시 줄어도 지역인재전형 권고율 60% 유지될 듯
  3. 대전 유성구청, 과학의 날 맞이 천제사진 전시
  4. [사설] 행정수도 완성, 말뿐인 '선거용' 안 된다
  5. 목원대, 영덕 산불피해 주민에 희망 전해… 맞춤형 식사봉사·성금 전달

헤드라인 뉴스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국힘 대선 2차 경선 진출 확정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국힘 대선 2차 경선 진출 확정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가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 4명으로 압축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2명과 찬성 2명으로 갈리면서 2차 경선 결과가 주목된다. 국민의힘은 22일 오후 6·3 대선 2차 경선 진출자로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를 확정·발표했다. 2차 경선 진출자는 '100% 국민여론조사'로, 5개 여론조사 기관에서 일반 국민 800명씩 모두 4000명의 표본조사를 통해 평균치를 집계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3강으로 분류된 김문수·한동훈·홍준표 후보는 무난하게 4강 문턱을 넘었고, 박빙이 예상됐던..

‘대전형 판교’ 10년 로드맵 수립…도심융합특구 지원 구체화
‘대전형 판교’ 10년 로드맵 수립…도심융합특구 지원 구체화

정부가 대전 동구와 중구를 포함한 전국 5개 광역시에 지정된 '도심융합특구'의 발전을 위해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나선다. 경기 침체와 협의 지연 등으로 지지부진했던 대전역세권 개발의 핵심인 '복합2구역 개발사업'도 최근 활로를 찾은 만큼, 관련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이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국토연구원에서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체계적인 발전전략 마련에 나섰다. 연구는 내년 9월까지 약 1억 60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종합발전계획에는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한 범부처 지원방안, 선도기업..

`세종시 테마주` 계룡건설…주가 급등에 22일 거래 정지
'세종시 테마주' 계룡건설…주가 급등에 22일 거래 정지

'세종시 테마주'로 지목된 충청권 기반 건설사 계룡건설의 주식 거래가 22일 하루 동안 정지됐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투자경고종목 지정 이후에도 주가가 2일간 40% 이상 급등했다"며 계룡건설의 주식 거래 정지 사유에 대해 설명했다. 계룡건설의 주가는 4월 11일 종가 기준 2만 2350원까지 상승하며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됐고, 21일에는 3만 1300원까지 올랐다. 2거래일 전인 17일(1만 8550원)과 비교하면 68.73% 오른 수치다. 충청권 건설사 중 유일한 상장사인 계룡건설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여야 출마 후보들이 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미사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미사

  • 환경 꿈나무와 함께 하는 탄소중립 체험행사 환경 꿈나무와 함께 하는 탄소중립 체험행사

  •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