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평균 태풍 발생 및 영향 개수(발생태풍, 영향태풍】 |
특히 2003년 매미, 2016년 차바 등 큰 피해를 입혔던 강한 태풍이 가을에 발생했다.
행정안전부는 2003년 9월 12일 제14호 태풍 매미의 상륙으로 131명이 사망·실종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던 과거 사례를 분석, 가을 태풍 가능성에 적극 대비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1951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태풍을 분석하면 연평균 26.2개가 발생해 3.2개가 한반도에 영향을 주었는데, 올해는 제17호 태풍까지 발생했고 가을에 1개 정도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210개를 월별로 분석해보면 8월(71개, 34%)과 7월(65개, 31%)이 가장 많지만 9월 이후에도 54개(26%)로서 4개 중 1개는 가을 태풍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규모 피해를 남긴 기록적 태풍은 가을에 많았는데, 1959년 태풍 ‘사라’는 849명의 인명피해를 남겼고, 2002년 ‘루사’는 인명피해 246명과 5조 1479억원 재산피해, 2003년 ‘매미’는 인명피해 131명, 4조 2225억원이라는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이처럼, 위력적인 태풍이 가을에 많이 발생하는 까닭은 해수 온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온도가 서서히 올라가는 바닷물의 특성상 태풍 발생 해역의 수온이 늦여름과 초가을에 가장 높아져 강력한 태풍 발생 확률이 그만큼 커지는 것이다.
태풍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공통적인 문제점은 기관간 상호협력이 부족하고 지휘체계가 혼선을 빚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황관리가 어려웠던 점이었다.
정종제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올해 한반도 태풍 상륙이 없었고 최근 수년간 전국적 영향을 준 태풍이 없어 지자체 공무원과 유관기관 담당자의 재난현장 경험과 실전 감각이 떨어졌을 우려가 있다”면서 “태풍이 우리나라 내륙을 관통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기관별 대응태세와 상호 협력체계를 재점검하고 관계자의 현장 중심 대응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