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평화와 치유의 공간으로
지난 15일 대전 산내 민간인 학살터에서 열린 세종 추모의집 임시 통합안치 추모식에서 희생자 유족들이 울고 있다. 이들은 여전히 드러나지 않은 진상 규명을 통해 희생자의 한을 풀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
지난 15일 오전 대전 동구 산내 낭월동 13번지 일원인 민간인 학살터 추정지에서 또 한번 곡소리가 터져 나왔다. 지난 2015년 이곳에서 발굴된 유해 20구가 세종시 '추모의집'에 임시 통합안치되는 이날 희생자 유족들은 또 한번 채 치유되지 못한 지난날의 기억을 떠올려야 했다. 최대 7000여 명이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곳에서 발굴된 유해는 52구에 불과하다. 세상 밖으로 나오지 못한 상당수 희생자의 유해는 산내 골령골에서 일어났던 국가 권력에 의한 민간인학살이 여전히 국가의 관심 밖에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바로 미터다.
문양자 산내학살사건희생자유족회장이 잠시 골령골을 떠나는 희생자 유해에 절을 하고 있다. |
지난해부터 산내 민간인 학살을 기록하는 데 열중인 정 PD는 이날도 카메라에 현장의 모습을 담는 데 한창이었다. 산내사건 희생자유족회를 비롯해 이날 추모식을 진행한 민중의 힘 등은 정 PD를 정겹게 맞이했다. 행정안전부와 함께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을 함께하고 있는 대전 동구 산내평화공원팀과도 익숙한 듯 지난 영국 취재기와 성과를 공유했다.
정진호(왼쪽) PD와 데이비드 밀러 박사가 추모식을 바라보고 있다. |
그러면서 "셰필드대에 보관 중인 자료 등을 바탕으로 연구할 수 있는 재단을 설립하고 매년 시민이 기억할 수 있는 평화콘서트, 청소년 참여 대회 등을 기획하는 방향도 제안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영국 셰필드대 아카이브에 앨런 위닝턴에 대한 자료가 보관 중이란 걸 알아낸 데이비드 밀러 박사는 앞으로 한국전쟁과 관련된 또 다른 사실을 알아내는 데 노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그는 "나의 활동은 오래된 상처를 다시 여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고통이 없도록 세세하게 살펴보는 것"이라며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미래 세대에게 전쟁은 유감과 슬픔으로만 이야기되길 바란다. 평화라는 말은 쉬운 말이지만 진정한 이해 없이는 도달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실을 알아낼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전쟁 시기 대전지역 민간인 학살을 연구해온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임재근 교육연구팀장은 "내년은 한국전쟁 발발 70년이자, 민간인 학살이 일어난 지 70년이 되는 해"라며 "7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지만 대전 산내 민간인 학살의 진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영국에서 발굴해낸 알렌 위닝턴의 취재수첩 등 자료들은 한국전쟁과 대전 민간인 학살 등의 진상을 밝혀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그 자료들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연구해서 진상을 밝혀내는 데 단초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끝> 런던=임효인 기자
'런던에서 산내까지' 기획을 마무리하며 지난 15일 골령골 민간인 학살터에서 만난 데이비드 밀러(왼쪽) 박사와 정진호 PD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