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악성 미분양' 소폭 늘어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악성 미분양' 소폭 늘어

국토부 9월 주택통계 결과
대전 8세대·충북 87세대 각각 증가
충북 전국서 증가 비율 가장 높아
충남은 24세대, 세종 3세대 감소세

  • 승인 2025-11-02 11:17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준공후미분양
9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부 제공.
충청권에서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7248세대로 한 달 전(2만 7584세대)보다 336세대 감소했다. 수치로 환산하면 1.2% 줄었다. 다만, 수도권에서 181세대가 줄어든 만큼,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미분양 문제는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4256세대, 지방 2만 2992세대로 집계돼 지방이 전체의 84.3%를 차지했다. 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을 보면, 경기는 2087세대로 전월 대비 124세대 감소했고, 인천도 1392세대로 전월보다 61세대 줄었다. 서울은 4세대가 늘어난 777세대로 집계됐다.

지방의 경우 2만 2992세대로 전월(2만 3147세대)보다 155세대 줄었지만 충청권에선 소폭 증가했다. 충청권을 살펴보면, 대전은 486세대로 한 달 전(478세대)보다 8세대(1.7%) 늘었다. 충청권 준공 후 미분양은 충북이 큰 영향을 미쳤다. 충북은 727세대로 전월(640세대)보다 87세대 늘었다. 이는 13.6% 늘어난 수치로 전국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충남은 1393세대로 전월 대비 24세대(1.7%) 감소했으며, 세종은 47세대로 전월보다 3세대 줄어 전국에서 가장 적은 준공 후 미분양 수치를 기록했다.



준공 후 미분양을 포함한 전국 미분양 세대 수는 6만 6762세대로 전월(6만 6613세대)보다 0.2%(149세대) 늘었다. 수도권은 1만 5351세대로 720세대(4.9%) 증가한 반면, 지방은 5만 1411세대로 571세대(1.1%) 감소했다.

이밖에 주택 공급지표 중 인허가는 9월 4만 6575세대로 전월 대비 171.2% 급증했다. 수도권(1만 9731세대)은 161.5%, 지방(2만 6844세대)은 178.8% 각각 늘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착공은 전월과 비교해 83.6% 증가한 2만 9936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1만 6449세대)이 82.5%, 지방(1만 3487세대)은 85.0% 늘어 동반 상승했다. 공동주택 분양은 2만 2911세대로 전월 대비 37.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만 2437세대)은 19.9%, 지방(1만 474세대)은 66.0% 각각 공급 물량이 늘었다. 준공은 같은 기간 10.5% 증가한 2만 2117세대로, 수도권(8116세대)은 22.4% 줄었으나, 지방(1만 4001세대)은 46.5% 늘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4.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1.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2.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5.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