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지역 공감대는 충분히 형성돼 있다. 충남 5개 주요 보훈단체 보훈대상자의 거의 전원(98.6%)이 충남에 안장돼야 한다고 응답한 건 그 '결정판'이다. 이를 도정 과제로 삼은 김태흠 충남지사도 29일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 의거를 기리는 행사에서 호국원 조성 의지를 다졌다. 그의 표현대로 지역 유공자를 객지에 모시는 슬픔과 불편은 매우 크다. 충남은 참전 유공자 및 전몰·전상·순직 군경의 비중도 높다.
지역 역사와 연관된 인물에 합당한 예우와 추모를 해야 한다. 그것이 형평에도 맞는다. 전승기념이나 호국 관련 행사를 할 경우, 지역 정체성과 보훈 정신 선양 모두에 도움이 된다. 보훈부에 제출한 사업비 495억 원 규모는 강원 호국원의 당초 예산 500억 원과 맞먹는 액수다. 호국원을 갖추면 최소 2배 이상의 경제효과와 1500명 안팎의 고용효과까지 있다고 본다. 시·군 유치를 포함해 6~7년의 소요 기간을 감안할 때 지금부터 추진해야 최선이다. 정부가 결단해야 한다.
충남에는 충분한 안장 수요도 있다. 안장 대상 유공자(올해 2월 기준 2만 3440명)에 맞는 안장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인근 세종 수요까지 더하면 3만 명에 근접할 것이다. 강원 횡성(2028년)과 전남 장흥(2029년)에 호국원이 개원하면 충남은 호국원 없는 유일한 광역도로 남는다. 유치 필요성,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지역 정치권은 힘을 아끼지 않기 바란다. 대선 공약화까지 추진할 만한 중대 현안이다.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에게 존경과 예우를 다하는 공간인 국립호국원 조성은 선택 아닌 필수다. 충남 영웅은 충남에서 모시는 게 또한 당연한 도리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