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대전세종지역본부(본부장 서재윤)가 29일 발표한 '5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 지역 내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는 72.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78.4)보다 6.3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올들어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 |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세종지역본부 제공 |
비제조업의 하락세를 주도한 건 건설업이다. 건설업의 업황전망 지수는 54.2로, 지난달(91.7)보다 무려 37.5포인트 폭락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배경을 '악성 미분양' 물량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국토교통부가 이날 발표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충남을 중심으로 확산했다. 충남의 미분양 주택은 전월보다 18.9% 증가했다. 준공 후에도 '악성 미분양'이 누적되면서 분양 대금 회수가 지연되고, 이에 따라 건설사의 자금 유동성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기중앙회 대전세종본부 관계자는 "자기 자본 비율이 낮은 지역 중소건설사들은 사업 자금을 금융기관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최근 미분양으로 인해 대형 건설사도 부채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중소업체들은 원리금 상환에 더 큰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내 설문조사 모집 규모가 적어서 생각보다 많이 내려간 점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자금사정 전망(81.9→82.3)은 소폭 개선됐지만, 내수전망(75.2→72.5), 수출전망(88.7→85.0), 영업이익(75.2→73.9)은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4월 기준 기업 경영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매출(제품 판매) 부진'이 50.6%로 가장 많았고, '인건비 상승(38.2%)', '업체 간 경쟁 심화(33.1%)', '원자재 가격 상승(29.1%)', '고금리(19.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3월 기준 중소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0.3%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전년 동월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미분양이 이어지면서 건설업계의 우려 목소리가 컸다"면서 "광역시인 대전은 악성 미분양이 감소하는 추세지만, 도농복합지역인 충남은 상황이 심각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 회복을 위해선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분양시장 관리와 금융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대전·세종·충남 중소기업 251곳을 대상으로 4월 11~18일 실시한 결과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