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3월 말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5117세대로 한 달 전(2만 3722세대) 보다 5.9% 늘었다. 이는 2013년 8월(2만 6453세대)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대치다.
특히 지방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두드러졌다. 지방의 경우 2만 543세대로 전달(1만 9179세대)보다 1364세대 늘며 2만 세대를 넘어섰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의 감소율이 전국에서 가장 컸다. 대전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522세대로 전달(580세대)보다 10%(58세대) 감소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율이다. 충북은 565세대에서 525세대로 7.1%(40세대) 줄었다. 대전에 이어 두 번째로 감소율이 높다.
반면, 충남은 준공 후 미분양이 1376세대로 전달(1157세대)보다 18.9%(219세대)로 늘어 전국에서 증가율이 세 번째로 컸다. 세종은 3세대가 늘어난 58세대를 기록했다.
전북은 520세대 늘며 한 달 새 28.4%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경남은 3026세대로 전달보다 23.1% 증가해 뒤를 이었다. 세대수 기준으로는 대구(3252세대), 경북(2715세대), 부산(2438세대) 순으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충청권 미분양 주택 수도 준공 후 미분양과 흐름을 같이 한다. 대전은 전달(2001세대)보다 190세대 줄어든 1811세대를 기록해 9.5%가 줄었으며, 충북은 2305세대로 4.1% 감소했다. 반면, 충남은 5084세대로 전달(4921세대)보다 163세대가 늘어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방에서 심화하는 미분양 문제는 지역 부동산 침체와 건설 경기 불확실성을 키우는 등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나아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다양한 공약과 실효성 있는 대책이 발굴돼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대전 건설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에서 부동산 정책을 내세워왔는데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윤석열 정부가 내세웠던 공약 정책들도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번 대선에선 악성 미분양을 비롯해 수도권 쏠림현상을 줄일 수 있는 지역을 위한 공약이 제대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