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문제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인 유심 교체 물량 공급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SK텔레콤이 확보한 유심 물량이 100만개에 불과한 데다 무상 교체 대상인 2500만명 분 유심을 확보하는 데는 수개월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가입자 유심 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포렌식 결과가 나오는 시점에 대해 최소 2~3 개월에서 1년 이상 걸릴 수 있다고 밝힌 것도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금융 거래를 하는 시대에 해킹으로 인한 유심 정보 유출은 각종 범죄로 이어질 우려를 낳는다. 전문가들조차 금융 등 2차 피해 여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공동인증서와 비밀번호 생성기(OTP)를 많이 활용하는 환경에서 유심 정보만으로 심각한 금융 피해로 직결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해킹 규모와 악성코드가 얼마나 오랫동안 침투해 있었는지 등이 규명되지 않은 만큼 피해가 예상외로 클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SK텔레콤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뒤늦게 알린 데다 해킹을 확인했음에도 '의심 정황'으로 축소 신고해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당장 급한 건 턱없이 부족한 유심 교체 물량을 확보해 가입자들의 불안을 덜어주는 일이다. 가입자들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해 2차 피해를 막을 최소한의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SK텔레콤은 유심 해킹 사고에 무한책임을 진다는 자세로 사태 종식에 나서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