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흉기 난동에 폐쇄된 청주의 한 고등학교. |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수학급 교실에서 상담교사와 대화를 나누던 중 완력을 행사한 뒤 복도로 나와 범행했으며 그의 가방에선 다수의 흉기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조사에서 A군은 "학교생활이 힘들어 꾹꾹 참다가 폭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전날 집에 있던 흉기 여러 점을 가방에 넣어 준비했으며 다음 날 학교에서 마주치는 사람에게 해코지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을 계획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가해 학생은 난동을 벌인 후 인근 공원 저수지에 뛰어들었다가 구조돼 경찰에 인계됐다.
앞서 지난달 청주의 한 학교에 근무하는 여교사가 특수학급 중학생에게 폭행 당해 전치 3주의 상해를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지적 장애가 있는 가해 학생은 생활 지도를 하는 여교사에게 반항하다 폭행을 저지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월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40대 여교사가 8살 여아를 흉기로 살해한 끔찍한 사건도 벌어졌다. 우울증 문제로 휴직했던 해당 교사는 지난해 12월 복직한 후 범행을 저질렀다.
이렇듯 학교 내 강력 사건이 잇따르면서 학부모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학부모는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살인과 흉기 난동 사건이 벌어지니 아이를 보내기가 겁난다"며 "내 아이도 범행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밤잠을 설친다"고 말했다.
학교 내 위기 구성원을 조기 발견하고 대응하는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등교사노조는 "현재 학교 내 위기 학생에 대한 조기 발견, 대응 체계는 명백히 허술하다"며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위기 징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필요시 전문가의 즉각적인 개입을 의무화하는 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특수교육와 특수교사의 환경을 보다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충북교총은 "현재는 특수교육법에 따라 보호자가 학생의 배치형태를 결정하는데 장애 특성이나 수준을 고려해 전문가가 참여하는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심의해 적합한 학교로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교사노조는 "이번 사건은 사회 정서적인 문제로 지적 장애와 폭력성을 연관 짓지 말아야 한다"며 "대전 교사 범행도 우울증이 아닌 반사회적 정서 문제가 원인인 것처럼, 지적 장애 경계 선상에 놓인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폭력 사건"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최근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비율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관련한 학교폭력이나 교육활동 침해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 학생이 행동 및 적응상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 전문가의 개입 및 도움과 함께 필요한 경우 진료, 치료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교조 충북지부도 입장문을 통해 "교원에 대한 안전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있다는 현실을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정확한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주=정태희 기자 chance09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