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사업의 하나로 공들이는 충남경제자유구역 개발 계획도 하반기에 정부 지정 절차를 마치고 경제자유구역청 개청이 완료될 수 있어야 한다. 천안 수신지구(미래모빌리티, 반도체), 아산 인주지구(디스플레이, 미래모빌리티), 아산 둔포지구(반도체), 서산 지곡지구(2차전지), 당진 송산지구(수소융복합) 등의 전도는 밝다. 충남도민, 특히 천안·아산·서산·당진·예산 지역민이 잘 모르는 부분은 적극 알려야 한다. 경기 쪽 화성·평택·안성·시흥·안산 지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물적·인적 인프라로 규모의 경제를 제대로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해당 지역 23개 대학을 인재 확보의 산실로 만들 준비도 필요하다. 지난달 공개한 상생협력 사업 13건 모두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베이밸리 순환철도망 나머지 사업의 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반영은 말할 것 없다. 두 광역자치단체는 충남 북부와 접한 경기 남부 아산만권 일대를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만들자는 각오로 의기투합했다. 지방 주도 국가균형발전 실현과 관련된 핵심 현안에 각 정당은 6·3 대선 공약화로 화답하기 바란다.
대한민국 50년, 100년 먹거리가 되려면 국가 차원의 지원도 절실하다. 규제를 과감히 풀고 파격적 인센티브를 부여해 정말 K-메가샌드박스를 만든다는 신념이 요청된다. K-실리콘밸리는 유한하지 않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8일 자신이 지사직을 떠나더라도 계속돼야 할 사업이라고 했다. 글로벌 경제거점으로 만들려면 사업의 지속가능성은 지당한 말이다. 정권이 바뀌고 도지사 임기가 종료돼도 진행할 사업임은 물론이다. 충남과 경기의 상생협력 사업인 만큼 이는 경기도정에도 해당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