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 지역 자영업계에 따르면, 배달의 민족과 쿠팡이츠, 요기요 등 높은 수수료를 탈피하기 위해 대전시와 신한은행이 협약한 공공배달앱 땡겨요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땡겨요는 서울과 경기, 충북, 전남, 광주, 인천, 세종 등 여러 지자체 등과 협업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땡겨요가 최근 급부상한 데는 낮은 배달 수수료가 한 몫하고 있다. 배달 수수료는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각 최대 9.8%, 요기요 최대 9.7%인데 반해 땡겨요는 2% 이하로 4분의 1수준이다. 여기에 최근 업계 1위인 배달의 민족 우아한 형제들에서 포장 주문 서비스에도 중개 수수료 6.8%(부가세 별도)를 부과하면서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땡겨요가 자영업자들에게 대안책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전 중구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 A씨는 "땡겨요가 일선 자영업자들에겐 마진이 더 많이 남으니 다른 배달 플랫폼보다 500원이나 더 싸게 금액을 책정해서 올려뒀다"며 "주변에서 자영업하는 분들도 모두 동참해서 땡겨요를 더 많이 쓰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많이 활성화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소비자 유입을 늘리기 위해 스티커를 제작하기도 한다. 서구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B씨는 "다른 배달앱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음식 포장에 땡겨요 홍보를 위한 스티커를 붙여서 보내고 있다"며 "배민이나 쿠팡에게 수수료를 주느니 소비자에게 그만큼 혜택을 돌려주면 땡겨요도 금방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자영업자들이 스스로 공공앱을 활성화하고 있지만, 주문 건수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기존 배달앱을 사용 중인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홍보 전략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게 자영업자들의 전언이다. 또 무료배달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을 유치하는 방안도 필요해 보인다. 현재 배달의민족과 쿠팡 등은 멤버십 가입 시 무제한으로 무료배달이 가능하다.
중구에서 배달 전문 고깃집을 운영하는 C씨는 "아직까지는 이용자가 너무 적다. 다른 배달앱에서 15건씩 나올 때 땡겨요는 1~2건에 그치는 수준"이라면서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홍보전략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