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으로 제2외곽순환도로와 첫마을 IC 등 새로운 교통개선 대책이 추진될 전망이다. 사진=행복청 제공. |
내부 순환 비알티(BRT) 중심도로와 외곽 순환도로에다 제2외곽순환도로 도입을 유도하고, 첫마을 하이패스(무인) IC와 광역급행철도(CTX) 등에 이르기까지 버스·철도·자가용 수단 간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간다.
행복청(청장 김형렬)은 4월 28일(월)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2025년 행복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제4차 변경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초점은 '2시간 내·외로 전국 주요 도시 접근'에 있고, 이를 위해 고속도로와 철도 등 주요 교통거점을 연결하는 총 21개 노선, 연장 165km 규모의 광역도로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현재 개통된 노선은 오송KTX역과 정안IC, 대전 반석역 등을 연결하는 12개 노선(총 90km)이고, ▲행복도시~공주 3구간 ▲외삼~유성복합터미널 ▲회덕IC 연결도로 시공 ▲행복도시 동측 우회도로 ▲금남~북대전IC 연결도로 설계 등을 진행 중에 있다.
행복청은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교통 여건 변화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기존의 방사형 광역도로망 구상이 행정수도 위상의 세종시 미래상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도로 위주 사업을 넘어 철도와 연계한 입체적 개선 대책을 찾고 있는 배경이다.
이에 새롭게 추가되는 서울-세종 고속도로와 세종-청주 고속도로를 연계·보완하는 한편, 2차 외곽순환도로망 구축과 첫마을 IC 설치에 나서기로 했다. 큰 틀은 방사형에서 순환·격자형 광역도로망 구조로 변화를 의미한다.
올해 CTX 구축안이 구체화되면, 버스 등의 대중교통과 연계한 광역 환승센터 신설 계획안도 찾는다.
행복청은 4월 초 관련 용역에 착수했고, 2025년 말까지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안)을 마련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이다.
최형욱 시설사업국장은 "행복도시가 실질적 행정수도로서 원활히 기능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 접근성을 좀 더 향상시킬 것"이라며 "행복도시 광역권이 실질적 행정 수도권을 형성하도록 광역도로 및 광역대중교통 기반시설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현재 광역도로 노선 현황.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