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형 라이즈' 사업은 총 655억원 규모로, 경제과학도시 구현을 위한 지·산·학·연·관 협력 생태계 구축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지역선도형 대학교육 특성화, 지역 정주형 취·창업 활성화, 라이즈 촉진형 지역 현안 해결 등 5대 핵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지역선도형 대학교육 특성화 프로젝트는 충남대 등 13개 대학에 154억여원을 배정했고, 지역정주형 취·창업 활성화는 한남대 등 12개 대학이 사업을 수행한다.
각 시·도들이 라이즈 사업을 수행할 대학들을 선정하면서 이런저런 뒷얘기가 나오고 있다. 충북의 경우 지역 모든 대학이 단독과 연합과제 형식으로 최소 5개 이상의 사업에 선정되면서 '선택과 집중'이 결여된 나눠먹기식 배분이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반면 이상근 충남도의원은 최근 도의회 발언에서 "단순 경쟁력 위주의 공모 방식은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한다"며 상대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충남 서남부권 대학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역설했다.
라이즈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경쟁력만으로 선정할 경우 특정 대학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공정한 평가와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유연한 정책 집행 의견 모두 설득력을 지닌다. 관건은 지역과 대학이 위기를 함께 극복해 상생하는 사업 목표를 어떻게 달성하느냐에 있다. 라이즈 사업의 성패는 지자체와 각 대학이 절박함을 갖고 과제를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