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는 인구 70만의 충남 수부도시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오던 터에 시장이 불명예 퇴진하면서 시민들의 상실감은 크다. 해결해야 할 대형 지역 현안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유치,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GTX-C 천안·아산 연장 등 주요 현안 사업의 동력이 떨어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당장 6월에 열리는 'K-컬처박람회', 도민체전의 성공적 개최 준비도 문제다.
충남도는 시장 권한대행 체제가 된 천안시에 공직기강 확립과 주요 현안의 차질 없는 추진을 당부했다. 김태흠 지사는 "도정 역량을 집중해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고, 25일 천안시를 찾은 박정주 행정부지사는 지역 안정에 행정력을 집중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장 궐위로 권한대행을 맡게 된 김석필 부시장은 "천안시정은 법과 원칙에 따라 각종 현안을 흔들림 없이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 지방선거를 1년 남짓 남겨둔 촉박한 일정 탓에 천안시는 재선거 없이 사실상 시장 권한대행체제로 운영된다. 시정을 이끌던 수장의 공백이 현안 추진 차질 등 행정 공백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 박 전 시장 낙마와 동시에 차기 시장을 노리는 정치인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자칫 공직자들의 줄대기 등 내부 기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위기다. 천안시 공직자들은 시장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흔들림 없이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 시민들의 걱정과 우려를 덜어줘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