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은미 성남시의회 도시건설 위원회 위원장 |
특히 박 의원은 "주민 동의 없는 사업은 절대 지속될 수 없고, 주민들의 신뢰를 얻지 못한 정책은 멈춰야 한다"며 "분당 주민의 뜻을 반영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토부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 중인 '의왕~광주 고속도로 사업'은 제2경인고속도로와 제2영동고속도로를 연결한 총 18.5km 노선으로 그중 약 7km 구간이 정자동, 금곡동, 구미동, 운중동 등 분당 중심지를 통과한 지하 (80m~130m) 터널 사업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3,400여 주민들이 반대한 청원서를 제출했고, 올 3월 19일 주민 설명회는 사전 정보 제공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된 주최 측 태도에 주민들이 강하게 항의하며 집단 퇴장해 무산됐다. 이어 4월 8일 구미동 주민 총 4,371건의 의견서를 국토부에 제출해 노선 전면 재검토를 요청했다.
상당수 분당 주민들은 "탄천과 동막천 불곡산에 이르는 분당의 유일한 생태 휴식 공간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에 아무런 편익이 없는 신규 노선 개설은 분당 주민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사업이다"고 강력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최근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 붕괴 사고로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고,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싱크홀 발생으로 30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목숨을 잃는 사건을 언급하며 최근 지역 주민들이 단톡방 등을 통해 관련 기사들을 공유하고 지하 고속도로 공사에 대한 강한 공포와 불안감을 호소하며 사업 전면 철회 및 결사 반대에 동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하터널 공사 공법은 화약을 이용한 발파 방식으로 분당 주거지 한복판에서 진행되면 진동과 소음, 지하수 누출 등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지하 지지력이 약한 구간은 붕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아울러 "최근 성남GTX-A와 한강 하저터널과 같은 대심도 터널공사의 경우 최신 TBM 공법 등을 활용하여 고밀도 주거지역 내 주민들의 불안감을 줄이고, 안전성을 확보하는 공법이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지역주민 동의 없는 사업은 어떤 논리로도 정당화될 수 없고, 주민이 반대한 사업은 반드시 재검토 되어야 한다"며 "성남시가 노선안 전면 재검토를 국토부에 촉구해 주길 바라며, 환경영향평가법 제13조에 의해 공청회를 개최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성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