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4월 24일 KAIST 교내 걸려 있는 현수막. KAIST 유니온지부 제공 |
공공과학기술연구노동조합 KAIST 유니온지부(이하 유니온지부)는 24일 KAIST 총장 후보자 3인에게 학내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구체적 정책을 질의하는 공개 질의서를 전달했다.
KAIST는 현재 이광형 총장 임기 만료에 따라 차기 총장 선임을 위한 과정 중이다. 재임에 도전하는 이광형 현 총장을 비롯해 김정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이용훈 전 UNIST 총장이 후보 3배수에 오른 상태다.
연구행정·일반행정·연구직·연구교수·기숙직·간호직·상담직 등 조합원이 소속된 유니온지부는 5대 분야 정책에 걸쳐 각 후보자에게 입장을 물었다. 불안정한 연구비(PBS) 문제 해결과 청년 연구자 지원 강화, 노동이사제 도입·평의원회 개편 등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 기관 청렴도 향상 방안, 직군 간 차별 해소 및 비정규직 문제 해결, 이공계 인재 이탈 방지 대책에 대한 내용이다.
이중 직군 간 차별 해소 및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유니온노조의 최근 현안이다. 노조는 이러한 정책에 대한 후보자의 생각을 물으며 "연구 현장의 위촉직, 대학원생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와 노동권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다"며 "가장 평등한 사회여야 할 우리 대학이 임금과 복지에 심각한 차별이 있다는 구성원의 목소리가 그치지 않고 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매년 직장 내 괴롭힘과 반인권적 사건이 그치지 않는 이유와 학내 인권·노동권 강화를 위한 정책 제시를 요구했다.
![]() |
2025년 4월 21일 KAIST 윤니온지부 조합원 결의대회 모습. 지부 제공 |
노조는 이밖에도 질의서를 통해 R&D 예산 삭감 여파와 PBS 제도 등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를 위한 정책 방안에 대한 각 후보자의 정책 방향을 질의했다. 신임 교원을 비롯한 젊은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정책과 대형 연구과제 수주가 어려운 박사후 과정·박사 과정 청년 과학자를 위한 연구 지원 정책을 요구했다. 또 2023년 공공기관 지정해제에 따른 국가특임연구원 제도와 자율적 인력 운영에 대한 정책에 대한 생각을 질의했다.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과 관련해선 노동이사제 도입에 대한 의견과 함께 현재 교수 중심의 평의원회 구성 재편 논의에 대한 생각, 총선 직선제 도입에 의견과 계획을 질문했다.
유니온지부 관계자는 "KAIST의 미래를 위해 후보자들이 실질적인 비전과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길 기대한다"며 "후보자들의 답변을 구성원들과 공유하고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