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애로 해소부터 정보 제공, 금융·정책 연계 등 모든 부문에서 예외는 없다. 대체시장과 바이어 발굴, 생산 거점 이전과 신시장 개척 등 각 방면에서 충분한 도움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관세청(수출입기업지원센터), 중소벤처기업부(애로신고센터), 코트라(관세 대응 119) 등 부처와 기관, 지역 수출 유관기관과도 연계해야 한다. 수출 중심 경제 체계인 나라답게 지자체 역시 원스톱 관세 대응과 지원이 가능한 조직을 꾸릴 수준은 돼야 할 듯싶다.
우리 시간으로 24일 밤 시작한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 결과에 많은 것이 달려 있다. 관세 협의와 조금이라도 관련 있는 범부처 인사들로 대표단을 구성한 준비 태세는 좋다. 너무 서두르지 말고 관세 인하나 유예를 최대한 받아내는 게 목표다. 국제무역을 장벽으로 보는 트럼프식 맞춤형 징벌적 관세에 맞서 정부와 지자체 원팀으로 장기전에 대비할 때다. 공급망 경색 위기에는 지자체가 가능한 방책을 내놓아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로 줄여야 한다.
4월 들어 20일까지 대미 수출은 1년 전보다 14.3% 급감했다. 피해 기업은 물론 피해 우려 기업을 나란히 챙겨야 할 이유가 여기 있다. 1000억 원 지원을 앞서 공언한 충남도는 24일 정책자금 지원을 개시했다. 관세 대응을 위한 비상경제회의를 지역 단위로도 꾸려 기업과 함께 위기를 헤쳐나갔으면 한다.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국회 시정연설에서 언급한 12조2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은 미국발 관세 대응을 위해서도 조속히 처리할 당위성이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