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법치 민주주의 마지막 보루인 사법부는 신뢰의 위기에 직면했다. 정치적 사건에서 법원 내 특정 모임 출신 등 법관의 성향을 확인하는 일이 벌어지고, 판사의 성향에 따라 재판 결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의심받는다면 사법부는 설 자리가 없다. 유력 정치인에 대한 재판에서 1심 유죄를 뒤집는 2심 판결이 반복되고, 선고 결과를 놓고 진영에 따라 재판부에 대한 환호와 비난을 쏟아내는 웃지 못할 일이 빚어지고 있다.
사법부가 직면한 신뢰 위기는 고스란히 각종 지표에 나타난다. 통계청이 3월 말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법원에 대한 국민 신뢰는 46.1%로, 경찰(50.8%)에 비해서도 뒤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1년 조사에서 한국의 사법제도에 대한 신뢰도는 49.1%였다. OECD 평균(56.9%)보다 낮고, 조사 대상 20개국 중 15위에 그쳤다. 사법부 신뢰 위기를 외부 요인으로 돌릴 수 없는 근거들이다.
대법원이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에 대한 전원합의체 심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백현동 비리 의혹'과 관련 허위사실 공표 혐의를 받고 있는 이 후보에 대해 1심은 징역형을, 2심은 무죄를 선고했다. 대선을 한 달여 남겨둔 시점, 정치권과 국민의 시선이 온통 대법원에 쏠려 있다. 대법원은 사법부 신뢰와 권위를 세울 시험대에 섰다. 좌고우면하지 말고 오로지 법리에 의해 판결을 내리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