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새내기 유권자들을 위한 연수가 16일 대전 중구 문화동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에서 열려 새내기 유권자들이 투표참여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지역을 하나로 묶는 구심점 역할의 대표 인물 부재, 손익 계산에 따라 대권 주자별로 각기 분파하는 충청의 정치세력 등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 정치의 고질적인 특징이 재현되면서다.
충청의 정치력 증강이 결국 지역의 미래 성장과 직결하는 만큼 이제라도 정치 자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대선 초반 정국에서 충청의 주목도는 높았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첫 순회경선 지역으로 충청을 택하는가 하면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 이전 등 행정수도 완성이 주된 이슈로 떠올랐다. 국가균형발전이 시대적 과제로 꼽히면서 지리적으로 충청의 가치도 높아졌다.
하지만 상황은 가변적이다. 조기 대선이다 보니 선거 레이스가 빠를 수밖에 없어 공약의 완성도나 추진력을 온전히 담보하기 어렵고, 언제든 새로운 이슈가 등장하기 쉬운 판이다.
실제 행정수도 완성에 엇나가는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민주당 이재명, 김동연 후보가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해양수산부를 타 지역으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후보는 부산, 김 후보는 인천을 이전지로 제시했다.
국가균형발전 취지는 물론 정부부처 집적화에 따른 효율성 증대와도 배치되는 방향이다.
원인은 정치력 부재가 꼽힌다.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은 대권 주자 배출에 실패했다. 김동연 후보가 '충청의 아들', 이재명 후보가 '충청의 사위'를 자처하나, 지역과의 연계성을 살리기 위한 정치적 수사로 봐야 한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두 후보 모두 자신이나 부인의 연고를 떠나면 충청과 별다른 접점을 찾기가 어렵다.
국민의힘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이 대권 잠룡으로 존재감을 키웠다지만, 지역에서 전폭적인 관심과 지지를 얻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충청을 대표해 대선링에 올라야 한다는 도전 의식에는 점수를 줘야 한다는 평가 속에서도 보수와 민주 양쪽 진영으로부터 모두 인정받는 대망론 주자로 올라서는 일이 과제로 남았다.
이 와중에 지역의 정치세력은 다시 흩어졌다. 국민의힘은 경선 주자별로 충청권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 등의 세력 분파가 감지된다. 현재 4명으로 압축되면서 다시금 이합집산이 벌어지는 중이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에게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지만, 서로 '찐명'을 자처하면서 자기 지분을 넓히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결국 답은 정치 자강이란 지적이 많다. 마침 22대 총선을 거치면서 충청권 중진들이 대거 퇴장해 그 자리를 초·재선들이 채워야 할 책임이 막중하다.
이 과정에서 충청의 차세대 주자 도약을 위한 기반 확장과 비전 제시가 필요하다. 지역을 하나로 묶을 구심점 역할의 인물을 육성하고, 선거 때 지역의 응집력을 높이는 것도 숙제다.
권선택 전 대전시장은 "충청 정치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는 중앙과 지역을 연결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물이 없다는 것"이라며 "충청 현안을 국정에 관철하기가 어려운 구조인 데 이런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역 정치인들을 키워주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