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루벌 지방정원 조성사업 조감도. (사진= 대전시) |
대전시가 국가 정원 조성을 위한 중앙투자심사 의뢰에 들어가면서 행정절차 관문을 무사히 통과해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있을지 촉각이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달 30일까지 행정안전부에 노루벌 국가(지방) 정원 중앙투자심사 의뢰할 계획이다.
서구 흑석동 산95-1번지 일원(약 141만㎡)에 조성되는 노루벌 국가 정원 조성 사업은 1780억 원을 투입해 숲·강·벌판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활용한 중부권 최대 규모의 명품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구봉산 아래 노루벌 풍경을 담은 9가지 주제정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주제 정원에는 원문화센터, 정원실습실, 꽃물결언덕, 작가섬 정원, 반디샛강, 어린이놀이정원, 노루산숲길정원, 사계정원 등 생태자원을 연계 조성해 가드닝 프로그램 등 정원 문화 향유를 목적으로 한다.
지난해 산림청으로부터 국가 정원 지정 전 단계인 지방 정원 조성예정지로 승인되면서 추진력을 얻었다. 최근에는 노루벌 정원 조성을 위한 한국지방행정연구원(LIMAC) 타당성 조사 최종 보고회를 마치고 지난 12일 조사를 완료했다.
대전시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나온 의견들을 종합해 중투심 통과를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조사 과정에서 LIMAC는 노루벌 국가 정원 조성 비용편익분석(B/C) 점수가 낮은 점을 우려하며 이를 보완할 정책이나 방안이 필요하다고 시사했다.
실제로 조사를 통해 분석된 노루벌 국가 정원의 B/C는 0.09로 기준점보다는 낮게 나온 상황. 통상 B/C 비율이 1보다 클 경우 사업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대전시는 국가 정원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B/C 분석 결과를 보완하겠다는 입장이다.
노루벌 정원은 수목원이나 휴양림과 달라 유사 시설 방문객 자료를 결합하기 어려워 수요 추정 점수가 낮을 수밖에 없다는 것.
실제로 노루벌 국가 정원 조성 시 예상되는 입장객 수는 18만 명가량이다. 다만, 유동성 이벤트에 따른 입장객 수요는 프로그램마다 차이가 커 수요를 책정하긴 어렵고, 현재 지침으로는 입장객 예상치가 한정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는 의견이 크다.
이에 대전시는 국가 정원 조성 이후 충분히 이용객 수요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강조해 경제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원의 이용객 대부분이 행사나 축제 등 이벤트성 수요로 현재로선 중형모형 적용이 어렵다"라며 "노루벌 정원 조성 후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정원 박람회 개최 등에 따른 연간 방문객 수요 증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피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