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수연 문학평론가·충남대 교수 |
은행동의 구 대전시청사가 시민의 공간으로 돌아온다. 이 말은 대전의 정서적 무의식이 눈앞에 펼쳐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대전시청'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49년 8월 15일부터이다. 그 이전까지 대전부청(大田府廳)으로 불리다가 지방자치법 개정과 함께 지금의 행정 명칭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1937년 '대전공회당'이 건설된 후 이 건물이 맞은 우여곡절은 그 자체로 대전의 근현대사를 압축한다. 1942년 9월에 대전부청사가 이전하였으며, 해방 후 미군정청이 들어 왔다. 이후 대전시와 여러 공공기관이 함께 입주했는데, 관청은 1층과 2층이었고, 3층에서는 영화나 악극단 공연이 무대에 올려졌다. 정부 수립 이후로만 살피면, 대전시청사가 1949년 입주할 당시 8월 14일부터 상영된 첫 번째 영상은 런던올림픽을 다룬 문화영화 「민족의 광영(光榮)」이었다. 이후 몇 종류의 문화영화와 상업영화가 상영되다가 악극단 공연도 이루어졌다. 10월 4일부터 6일간 상연된 「육탄십용사」가 그것인데, 1949년 봄 개성 송악산에서 전사한 국군 10명의 전투를 육군의 후원으로 제작한 악극이다. 영상과 노래를 통해 대전시민들의 시청각에 전달되었을 현실 감각을 고려한다면, 이 건축물은 노년의 대전 시민은 물론이고 현재의 유년에게 알게 모르게 전승된 반복 기억의 무의식적 기원일 것이다.
 |
대전 중구 중앙로네거리에 있는 1950년대 대전부청사 모습. (사진=대전시 제공) |
이후 여러 공공기관으로 또 민간건물로 곡절을 엮은 대전시청사가 1937년 완공 당시의 대전공회당 본모습으로 돌아온다는 사실이야말로 모든 과거와 현재를 새롭게 배열하여 구제하는 사건일 것이다. 1937년 전쟁 발발기에 세워진 후 이 건물에서는 식민지조선의 총독부 정책과 선전전이 행정 산업 문화예술 모든 면에서 1945년까지 진행되었다. 미군정청의 기억도 아름다운 것은 아니다. 영상과 음악이, 또 청소년들의 발랄함이, 잠시 시름을 잊게 했다고 해도 사람들은 다시 거리로 나와 생업의 고난을 맞이해야 했다. 그러나 고난의 역사를 오늘의 성과에 도달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말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억압되고 숨겨진 기억들이 하나하나 현실화되어 지금 이 장소의 비유적 표현들로 재해석될 때 사람들은 역사적 서사의 굴레로부터 해방된 공회당을 만날 수 있다. 어떻게 과거를 재현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저 곡절의 시간을 현재화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벤야민이 파리 콩코드 광장의 '오벨리스크'를 보며 생각했던 것이 그것이다. 어떻게 배경의 서사에 묶인 건축물을 도시 속에 자유롭게 풀어놓고, 다시 지금의 역사로 만들 것인가.
나는 이 건물이 이제 진정으로 대전 시민들의 손과 마음에 직접 감촉되는 건물이기를 바란다. 역사 속의 기념비적 건축은 거의 모두 인간의 이상과 권위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기념비 앞에서 수동적으로 위축된 채 소비되어야 했다. 주체인 시민들이 소외될 때 건물은 저 멀리 달아나버리게 된다. 옛 대전시청사가 구충남도청사처럼 또 그렇게 된다면, 역시 이 건물은 구충남도청사처럼 시민들의 눈에서 멀어지고 말 것이다. 옛 대전시청사에 시민들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막는 담장이 없다는 사실이야말로 그래서 상징적이다. 상상컨대, 한 사람이 건물 안에서 창을 통해 거리의 다른 사람을 바라본다. 거리에 있는 사람은 건물 안에 있는 사람을 만나기 위해 다가오는 사람이다. 안에 있는 사람의 심장이 두근거린다. 지금 대전공회당에서 대전시청사로 변신했던 한 건물의 내면이 그럴 것이다. 창문이 많은 옛 대전시청사는 안과 밖을 무수한 내면의 회랑으로 다시 이어가는 통로이다. 대전시민들이 그 장소의 문지방을 넘어서려 하고, 옛건물의 뼈대가 드러나고 있는 창틀 밖에는 아무일도 없다는 듯 차량들이 천천히 흘러간다. /박수연(朴秀淵)·문학평론가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