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고등학교에 다니던 80년대 중반의 기억이다. 그 시절엔 직행버스, 고속버스에도 입석이라는 게 있었다. 버스회사는 입석을 가득 채워 돈벌이를 했다. 명절에 입석을 최대한 실은 직행버스는 고속도로 진입을 할 수 없었다. 그게 규정이었는지 정확하지는 않다. 대전, 연무대 간 호남고속도로를 거쳐 부여 가는 만원 직행버스는 연산과 논산으로 우회하는 비포장도로를 이용해만 했다. 직행버스 후미의 조그만 창문으로 사람을 태우는 꼼수까지 써가며 콩나물시루가 된 버스 안은 생지옥이었다. 운전기사는 승객 사정 안 봐주고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내달렸다. 그때마다 버스 안은 비명이 가득했다. 어쩌다 서울행 고속버스를 가끔 타면 40년 전 직행버스의 고약한 경유 냄새가 코를 찌르고 속이 울렁거린다.
부여 촌놈이라서 비포장도로(흙길)를 꽤 많이 걸었다. 부여 읍내에 아스팔트가 모두 깔려 있던 80년대 말까지도 고향 시골집 가는 도로는 비포장이었다. 여름방학에 친구들과 함께 서천 춘장대 해수욕장에 놀러 갔을 때였다. 고향 집에 하루 머물기로 하고 부여에서 시내버스를 탔다. 까까머리에 불량스런 사복 차림의 남학생들이 맨 뒤 좌석에 앉았다. 덜컹거릴 때마다 엉덩이가 의자에서 떨어졌다. 그때마다 놀이기구에 탄 것처럼 비명을 지르고 깔깔거렸다. 참다못한 기사 아저씨의 불호령이 있기까지 철없는 사내애들은 놀이기구를 타고 있었다.
미대 입시를 준비하면서 도예를 전공하겠다고 생각했지만, 깊이 알지는 못했다. 막연히 도자기를 동경했다. 산업미술학과에 디자인계열과 공예계열이 함께 있던 시절이었다. 당시 유망하다던 디자인계열 전공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결국에는 도자기 전공을 선택했다. 그렇게 도자기를 만들게 되었다. 도예가에겐 흙(점토)이 가장 중요한 재료다. 도자기 재료상에서 청자토, 백자토, 분청토, 흑토 등을 주문하면 택배로 온다. 돈 주고 사서 쓴다. 세상 좋아져 중국이나 미국, 일본의 점토도 쉽게 살 수 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돈 주고 사서 쓰는 점토가 마뜩잖다.
비 갠 후 시골길은 물웅덩이가 많이 생긴다. 울퉁불퉁한 길에 여지없이 물웅덩이가 만들어진다. 이때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비가 오면 옴폭 파인 길에 흙이 조금씩 씻겨 흘러 들어간다. 흙 속에 있던 모래나 작은 돌들은 무게 때문에 아래로 가라앉고 고운 흙물이 위에 뜬다. 하루이틀 지나면 마른 논바닥처럼 고운 흙이 쩍쩍 갈라진다. 이 마른 흙이 바로 와일드 클레이다. 작업장으로 가져와 물을 붓고 주물럭거리면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점토로 쓸 수 있다. 사실 이 방식은 선사시대 토기를 만들던 고대인들이 점토를 채취한 방법의 하나로 가장 원초적인 것이다. 요즘 꿈꾼다. 아침에 일어나 웅덩이의 와일드 클레이를 작업장으로 가져와 하루에 쓸 양의 점토를 만들고 그릇을 만든다. 주변의 와일드 클레이가 동나면 비를 기다린다. 비가 오면 물웅덩이에 내 흙이 쓸려 들어간다. 그런데 이 도시엔 흙물을 머금은 물웅덩이를 찾을 수 없다.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