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부 교육기본통계 |
우리나라의 다문화 학생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 교육기본통계(2024년)에 따르면 다문화 학생 수는 19만 3814명으로 전년 대비 1만 2636명(7.0% 증가) 늘어났으며, 이는 2012년 조사 이후 매년 꾸준히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다.
학교급별로도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는 11만 7459명으로 전년 대비 1820명(1.6%) 증가했으며, 중학교는 4만7910명으로 전년 대비 4212명(9.6%) 증가, 고등학교는 2만7673명으로 전년 대비 6483명(30.6%) 증가, 각종학교는 772명으로 전년 대비 121명(1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은 2024년 통계 기준 초등 2413명(3.4%), 중등 908명(2.3%), 고등 517명(1.3%)이 다문화 학생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급별 초등학생수 대비 다문화 학생수 비율은 3.4%로 초등학생 100명 중 3명은 다문화 학생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국제결혼가정 중에서 국내출생이 전체 다문화 학생의 69.6%(13만 4,817명)를 자치한다. 그 뒤를 이어 외국인가정은 24.3%(4만 7,010명), 중도입국은 6.2%(1만 1,987명)로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의 부모 출신국은 다양해 지는 추세다. 부모의 출신 국적별 다문화 학생 비율을 살펴보면, 베트남이 31.6%(6만 1333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다음으로 중국(한국계 제외) 25.4%(4만 9287명), 필리핀 8.7%(1만 6805명), 중국(한국계) 5.8%(1만 1227명), 일본 3.8%(7391명) 순이었다. 대전의 다문화학생을 부모 출신국별로 분류해 보면 베트남(37%), 중국(18.4%), 필리핀(15%), 캄보디아(6.8%), 몽골(3.3%), 일본(3.1%), 중앙아시아(2.3%), 한국계중국(1.8%), 태국(1.5%), 러시아(1.4%), 미국(1.2%), 유럽(1.0%) 등의 순이다.
다문화학생이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다문화 학생의 낮은 대학 진학률과 후기 청소년의 증가 등은 다문화 교육 정책의 높은 대응성과 효과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전교육청에서도 다문화 학생을 위한 다양한 교육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발맞춰 대전교육청은 이주배경학생의 다양한 가능성을 키우기 위한 학교관리자 역량 강화 연수를 마련했다. 최근 배재대에서 초·중·고·특수학교 교장 총 300여명을 대상으로 다(多) 가치 행복한 어울림 대전다문화교육을 위한 학교관리자 역량강화연수를 했다. 대전교육청은 다문화학생 증가및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나누며 함께 배우고 성장하도록 하는 다문화 감수성교육을 비롯해 이주배경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을 집중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연수에서는 오성배 동아대교수가 '다문화 정책학교의 실제'라는 주제의 특강을 통해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다문화 학생들의 원활한 공교육 진입과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초점을 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이야기했다.
대전동부·서부다문화교육센터는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이주배경학생 대상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지원, 교과 및 가정통신의 통·번역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안내하여 학교가 적기에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설동호 교육감은 "이번 연수를 통해 다문화 감수성이 풍부한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고 이주배경 학생들의 잠재력을 키워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데 대전교육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