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시 전경./사진=이성희 기자 |
선거 때만 되면 충청 표심을 겨냥한 선심성 공약을 남발한다는 비판을 해소하려면 대선 이후 신속한 정치적 합의로 진정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3 대선정국이 중반을 향해 치닫고 있는 가운데 최대 이슈 중 하나는 우리나라 정치 중심을 서울 여의도에서 세종시로 옮기는 이른바 '세종 시대' 실현 여부로 모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대 정당이 모두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정치권의 오랜 숙원이었던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지난 21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지난 총선 약속한대로 낡은 정치의 상징이 돼 버린 여의도 국회 시대를 끝내고 국회 세종 시대의 새로운 문을 열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정치의 중심을 지방으로 옮겨 국토 균형 발전의 새로운 동력을 만들고 효율적 국가 운영을 위한 새로운 정치 질서를 열겠다"며 "세종 대통령 제2 집무실 건립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국회의 세종시 이전에 동의하며 정치적 공감대를 형성했다.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가 모두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 세종 완전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면서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 17일 페이스북을 통해 "균형발전의 심장인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공약했다.
김경수 후보도 지난 14일 기자회견에서 "국회와 대통령실까지 세종으로 이전해 행정수도를 마무리하는 것이 대한민국 전체 구조를 짜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김동연 후보 역시 그동안 "대통령실, 국회, 대법원, 대검을 세종시 및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양당이 이처럼 '세종 시대'에 공감한 것은 우리나라 인구와 경제력 절반 이상이 국토 11%에 불과한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 있는 1극 체제에선 지속발전 가능성이 없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돌파구는 국가균형발전 상징인 세종시에서 찾아야 한다는 생각도 같다.
원내 의사결정 키를 쥐고 있는 거대 양당의 생각이 일치했으니 이제 남은 것은 대선 이후 신속한 정치적 합의를 통한 공약 실천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에서 어느 쪽이 승리하는지 여부를 떠나 대선 이후에는 '세종 시대'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정치 일정에 돌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미 확정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에 속도를 내야 한다.
나아가 여야 합의로 신행정수도특별법 제정이나 개헌을 통한 수도조항 신설 등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행정수도 완성은 단순한 정치적 구호를 넘어 국가 균형 발전과 효율적 행정 운영을 위한 중요한 실천 과제가 됐다"며 "세종시가 국가 정치의 중심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여야가 제시한 정책들이 실제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정부와 정치권의 지속적인 협력과 국민적 공감대가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