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효서 위원장. |
최근 몇 년간 신탄진 일대는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고 대덕구청 이전이 예정된 연축지구 개발 사업 등 도시재생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새로운 활기를 얻고 있다. 또한 대청호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한 대덕물빛축제와 대덕 시티투어 등이 이뤄지면서 많은 이들이 신탄진 지역을 찾고 있다.
교통 인프라 측면에서도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충청권 광역철도, 대전도시철도 2호선(트램) 등 굵직한 교통망 구축이 추진되며, 오랫동안 낙후된 외곽 이미지에 머물렀던 신탄진이 점차 대전의 중심축과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간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대전 전체의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변화의 중심에서 비켜난 여전히 소외된 곳이 존재한다. 신탄진 지역 내에서도 대청댐 부근의 소규모 마을들(미호동, 이현동 등)은 여전히 극히 제한된 교통수단에 의존하고 있다. 가령 미호동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대청호를 따라 운행하는 72·73번 시내버스 단 2개 노선뿐이다. 하루 몇 차례뿐인 버스 운행은 대전 시내와의 접근은 물론, 마을 간 이동조차 불편하게 만든다.
이러한 상황은 단지 불편함의 문제가 아니다. 고령 인구 비중이 높은 이들 마을에선 버스를 타기 위해 수 킬로미터를 걸어야 하는 현실이 단순한 불편을 넘어 일상의 제약이 된다. 또한 교육, 의료, 문화 혜택에서의 소외로 이어질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마을의 인구 유출과 고립 심화를 야기할 수 있다. 광역 철도망과 도심 트램 도입 등이 지역 균형발전의 한 축이라면, 반대로 이런 소규모 마을의 교통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은 또 다른 축이 돼야 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대전시에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기 노선 운행이 어려운 지역에는 '수요응답형 교통(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시스템의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이 시스템은 수요는 적지만 대중교통이 꼭 필요한 지역에 적합하며, 보다 유연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기존 시내버스 노선을 확대하고 배차 간격을 조정해야 한다. 특히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맞물려 그간 미뤄왔던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함으로써, 대중교통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들의 기본적인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
셋째,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실질적인 수요 기반의 교통 개선을 위해서는 마을 단위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 적극 이뤄져야 한다.
지금 신탄진 지역은 개발과 변화의 흐름 위에 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발전은 모든 주민이 그 혜택을 일상에서 체감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우리가 더 나은 도시를 꿈꾼다면 그 시작은 가장 멀리 있는 사람의 발걸음부터 보듬는 것이어야 한다. 소외된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일은 행정의 책임이며, 공공성 실현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박효서 대덕구의회 윤리특별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