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크로바이옴 활용분야. |
충북테크노파크에 입주한 비티시너지(대표 조희경)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 국내외 유수의 연구 기관과 함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세계 최초 생균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의 합성어로, 인체 내 세균과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의미한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은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충북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이곳 입주기업인 ㈜비티시너지(대표 조희경)는 세브란스병원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난배양성 균주 분리 배양과 오믹스 분석기술을 통한 대사산물 발굴 및 파마바이오틱스 소재 개발'에 착수했다.
국비 등 87억원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에는 분당 서울대병원, 고려대 의료원,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숙명여대, 원광대, 국립 강릉원주대, ㈜마크로젠 등도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50개 이상의 장내 미생물 균주를 확보해 10개 이상의 대사체를 발굴하는 방식으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신약)를 개발하는 것이다.
1단계 사업(2025∼2027년)은 세브란스병원이 주관하고, 2단계(2028∼2029년)는 비티시너지가 맡아 2030년까지 치료제를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살아 있는 균주를 활용한 생균 치료제(LBP)와 이들이 만들어낸 대사체로 분류되는데, 세계적으로 인허가 사례가 4건에 불과할 만큼 아직은 첫걸음을 떼는 단계다.
또한 인허가된 3건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균 감염증(CDI) 질환 치료제이고, 유일한 생균 치료제로 알려진 스위스 Progefarm사 제품은 신약 수준으로 평가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비티시너지는 그동안 20여개의 난치성 질환 치료용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해 질환 특이적인 난배양성 균주의 분리 배양과 대량화 공정 기술을 축적해 왔다.
특히 병원, 대학, 기업을 잇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비티시너지는 이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그동안 연구한 20여개의 난치성 질환 중 11개 질환을 선별해 마이크로바이옴 전용 AI 플랫폼(미네르바)과 시공간 다중 오믹스 분석 기술을 활용한 생균 치료제 및 대사체 발굴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문종국 비티시너지 연구소장은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치료제가 난치성 질환을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 난배양성 마이크로바이옴 자원 자체가 국제적 경쟁력이 되는 상황"이라고 이번 프로젝트의 가치를 설명했다.
1단계 연구를 주관하는 세브란스병원 고홍 교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영향이 규명되면서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지고, 이를 둘러싼 세계시장 역시 급팽창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정태희 기자 chance09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