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 상반기 도입할 예정이었던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을 미뤘다. 정부는 지역별 기준을 수도권, 비수도권, 제주권으로 나눠 전기요금 차등제를 적용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경우 전력 자급률에 따른 지역 간 요금 차별화가 불가능해진다는 불만이 나왔다. 하지만, 앞으로도 이에 대한 추진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전망이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전은 전국에서 에너지 자립도가 가장 낮은 도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 전력 사용량은 974만8621MWh이고, 발전량은 18만2000MWh로(2021년 기준) 전력자립도가 1.87%로 전국 17개 시도 중 제일 낮은 수치다.
이에 대전시는 지난해 2037년까지 전력자립도를 102%로 올리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시는 친환경발전소 건설을 통해 오는 2037년까지 연간 1만 3000GW(기가와트) 전력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평촌일반산단에 연료전지발전소가 무산되는 등 발전소 건립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발표한 '대전시 분산에너지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보면 현재 필요한 전력을 서해안의 석탄화력발전소에 의지하고 있는 대전에서는 전국에서도 전력자립도가 낮은 편이고, 앞으로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석탄화력발전소에 전력 생산을 의지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전력자립도 향상을 위한 대전시 에너지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문가는 우선 분산에너지 특성을 고려한 대전형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분산에너지 시스템에서 전력 생산에 있어서 다양한 에너지원의 특성과 용량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결합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에 있어서 민간과 공공, 그리고 개인과 기관의 소비패턴에 대한 이해로부터 상호 완충이 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에너지 수요공급 예측, 에너지 절약방안, 시민교육 및 가이드를 위한 추진체계를 통한 에너지 안보 확립이 요구된다.
또한, 전력자립도 향상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요하다. 분산에너지 시스템에서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경우 해당지역에서 직접 소비자에게 공급이 가능하므로 전력소회지역의 에너지 공급대책으로 적합한 옵션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검토한 결과, 지면 태양광 설치 잠재량은 0.89TWh/년이고, 건축물 중 주거용 및 상업용 태양광 설치 잠재량은 1.08TWh/년으로 대전시에서는 이를 설치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의 제안이다.
문충만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해 단순한 LNG 발전 등의 도입이 아닌 수소혼소 발전이나 ESS를 추가해 발전시간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연료소비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전의 분산에너지 시스템은 기존 전력망과 다양한 재생에너지 기술을 하이브리드하여 단계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점진적으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가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